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790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 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敬次郎)

제목| 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 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敬次郎)

범위와내용|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를 지낸 간바야시 게이지로의 임기와 친필 작품이 담긴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7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 오히라 신조(小原新三)

제목| 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 오히라 신조(小原新三)

범위와내용|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를 지낸 오히라 신조의 임기와 친필 작품이 기재된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6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

제목| 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

범위와내용|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의 임기와 친필 자료가 기재된 사진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5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참석자 명부 및 기념사진

제목|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참석자 명부 및 기념사진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제15회 도평의회 의원들의 단체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도평의회장은 공주에 도청이 소재했을 무렵의 시기에 촬영된 것이다. 200046573 자료의 기념사진에 참석자 명부가 추가된 사진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4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기념사진

제목|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기념사진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제15회 도평의회 의원들의 단체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도평의회장은 공주에 도청이 소재했을 무렵의 시기에 촬영된 것이다.

등록번호|200046573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1930년대 산성공원 내 비석군

제목| 1930년대 산성공원 내 비석군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6572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 전경

제목|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 전경

범위와내용|1932년 발간된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의 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설명에 의하면 충청남도에 소재한 45개 금융조합과 5개 산업조합의 본사라고 작성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46571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잠종제조소

제목| 충청남도 잠종제조소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공주의 충청남도잠종제조소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6570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제목|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제목|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등록번호|5000074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범위와내용|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선산계약 송사자료

제목| 선산계약 송사자료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9

생산일자|1911.04.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제목|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등록번호|500007458

생산일자|1917.02.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公州山城小西의 碑'라고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등록번호|50000744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지사 관사

제목| 충청남도 도지사 관사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도지사 관사의 모습이다. 지금의 공주교동성당 맞은편 옛 공주세무서 자리에 있었다.

등록번호|200046569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립공주의원

제목| 충청남도 도립공주의원

범위와내용|1932년 발행된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충청남도공주의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6568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790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 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敬次郎)

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 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敬次郎)

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를 지낸 간바야시 게이지로의 임기와 친필 작품이 담긴 자료이다.
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 오히라 신조(小原新三)

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 오히라 신조(小原新三)

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를 지낸 오히라 신조의 임기와 친필 작품이 기재된 자료이다.
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

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

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의 임기와 친필 자료가 기재된 사진자료이다.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참석자 명부 및 기념사진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참석자 명부 및 기념사진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제15회 도평의회 의원들의 단체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도평의회장은 공주에 도청이 소재했을 무렵의 시기에 촬영된 것이다. 200046573 자료의 기념사진에 참석자 명부가 추가된 사진자료이다.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기념사진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기념사진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제15회 도평의회 의원들의 단체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도평의회장은 공주에 도청이 소재했을 무렵의 시기에 촬영된 것이다.
1930년대 산성공원 내 비석군

1930년대 산성공원 내 비석군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 전경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 전경

1932년 발간된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의 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설명에 의하면 충청남도에 소재한 45개 금융조합과 5개 산업조합의 본사라고 작성되어 있다.
충청남도 잠종제조소

충청남도 잠종제조소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공주의 충청남도잠종제조소의 모습이다.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선산계약 송사자료

선산계약 송사자료

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충청남도 도지사 관사

충청남도 도지사 관사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도지사 관사의 모습이다. 지금의 공주교동성당 맞은편 옛 공주세무서 자리에 있었다.
충청남도 도립공주의원

충청남도 도립공주의원

1932년 발행된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충청남도공주의원의 모습이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790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790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790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 간바야시 게이지로(上林敬次郎)

범위와내용|제3대 충청남도 도지사를 지낸 간바야시 게이지로의 임기와 친필 작품이 담긴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7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제목| 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 오히라 신조(小原新三)

범위와내용|제2대 충청남도 도지사를 지낸 오히라 신조의 임기와 친필 작품이 기재된 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6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제목| 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

범위와내용|초대 충청남도 도지사 박중양의 임기와 친필 자료가 기재된 사진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5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제목|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참석자 명부 및 기념사진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제15회 도평의회 의원들의 단체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도평의회장은 공주에 도청이 소재했을 무렵의 시기에 촬영된 것이다. 200046573 자료의 기념사진에 참석자 명부가 추가된 사진자료이다.

등록번호|200046574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제15회 충청남도 평의회 기념사진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제15회 도평의회 의원들의 단체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도평의회장은 공주에 도청이 소재했을 무렵의 시기에 촬영된 것이다.

등록번호|200046573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1930년대 산성공원 내 비석군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6572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제목| 충남금융조합연합회관 전경

범위와내용|1932년 발간된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충청남도금융조합연합회관의 사진이다. 해당 사진의 설명에 의하면 충청남도에 소재한 45개 금융조합과 5개 산업조합의 본사라고 작성되어 있다.

등록번호|200046571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 잠종제조소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공주의 충청남도잠종제조소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6570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등록번호|50000746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 지방법원에 만개한 벚꽃을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주지법 주변에는 벚나무가 많아 공주의 주요 벚꽃 명소 중 하나로 유명했다.

제목| 1910년대 공산성 공북루 앞 나루터

범위와내용|1910년대 초반 공산성 공북루 앞 산성나루터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와 지금의 전막부근을 오가는 나루터는 흔히 산성나루로 불렸는데, 엽서 속에서는 '쌍수산성 제2도장(渡場)'이라 표기하여 공산성에는 여러 개의 나루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500007464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범위와내용|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등록번호|500007463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의 풍경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2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주 공산성 내 위치한 쌍수정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쌍수정과 밑에 위치한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제목|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등록번호|500007461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도청 정문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충남경찰본부(충남경무부)가 있다.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범위와내용|쌍수정은 1911년 공주를 방문한 독일인 신부 베버가 기록을 남겼을 정도로 공산성에서 유명한 장소이다. 그는 "우묵땅에는 울타리를 두른 비각이 있었고, 그 안에는 큰 거북 등에 비석이 서 있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쌍수정 사적비도 언급했다. 본 자료에서는 쌍수정 누각에 서있는 인물이 인상적이다.

등록번호|5000074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선산계약 송사자료

범위와내용|1911년 공주 반포면에서 발생한 선산에 대한 송사를 다룬 자료이다. 해당 자료에는 당시 계약을 맺은 주체의 이름과 계약을 어길 시 벌금 1,000원을 부과한다는 내용이 증빙되어 있다.

등록번호|500007459

생산일자|1911.04.1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공주감옥 수인 임명장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인 대정 6년 조선총독부에서 공주감옥 수인으로 이을규씨를 임명했다는 것을 증빙하는 임명장이다.

등록번호|500007458

생산일자|1917.02.01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근대

  • 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등록번호|500007448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중 망일사적비 엽서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망일사적비를 담은 사진엽서이다. 망일사적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ㅈ,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지금의 명국삼장비 중 하나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코니시(小西行長)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어 일제의 시각에서 사진엽서의 제목을 '公州山城小西의 碑'라고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제목|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범위와내용|1923년 3월 충남도청 북측으로 설치된 충청남도 평의장이다. 도평의회 또는 도회로 불리던 위 기관은 조선총독부에서 외형상 지방자치를 위해 전국 13도에 설치한 자치의회였다. 충남도평의회는 1920년 10월 처음으로 출범했고, 광복 이후 폐지되었다.

등록번호|50000744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평의장 엽서
  • 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 도지사 관사

범위와내용|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도지사 관사의 모습이다. 지금의 공주교동성당 맞은편 옛 공주세무서 자리에 있었다.

등록번호|200046569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제목| 충청남도 도립공주의원

범위와내용|1932년 발행된 충청남도발전사에 수록된 충청남도공주의원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46568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