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367건

제목| 공주 금학동 고분군

범위와내용|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位置와 環境 = 3 1. 位置와 自然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4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內容 = 14 1. 石室ㆍ石槨墳 = 17 1) 1號墳 = 17 2) 2號墳 = 21 3) 3號墳 = 31 4) 4號墳 = 33 5) 5號墳 = 38 6) 6號墳 = 46 7) 7號墳 = 52 8) 8號墳 =…

등록번호|100010842

생산일자|2002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 號墳 = 85 13) 13號墳 = 93 14) 14號墳 = 97 15) 15號墳 = 103 16) 16號墳 = 107 17) 17號墳 = 115 18) 18號墳 = 122 19) 19號墳 = 126 20) 20號墳 = 131 21) 21號墳 = 135 22) 22號墳 = 137 23) 23號墳 = 139 24) 24號墳 = 139 25) 25號墳 = 146 26) 26號墳 = 150 2. 石槨甕棺墓 = 154 1) 1號 石槨甕棺墓 = 154 2

제목| 공주 금학동 고분군

범위와내용|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位置와 環境 = 3 1. 位置와 自然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4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內容 = 14 1. 石室ㆍ石槨墳 = 17 1) 1號墳 = 17 2) 2號墳 = 21 3) 3號墳 = 31 4) 4號墳 = 33 5) 5號墳 = 38 6) 6號墳 = 46 7) 7號墳 = 52 8) 8號墳 =…

등록번호|100000722

생산일자|2002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 號墳 = 85 13) 13號墳 = 93 14) 14號墳 = 97 15) 15號墳 = 103 16) 16號墳 = 107 17) 17號墳 = 115 18) 18號墳 = 122 19) 19號墳 = 126 20) 20號墳 = 131 21) 21號墳 = 135 22) 22號墳 = 137 23) 23號墳 = 139 24) 24號墳 = 139 25) 25號墳 = 146 26) 26號墳 = 150 2. 石槨甕棺墓 = 154 1) 1號 石槨甕棺墓 = 154 2

제목| 천주교 건축유산의 수리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 건축문화재의 수리이력 분석을 중심으로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3. 논문의 구성 = 6 제2장. 천주교 건축의 보존·수리동향 및 연구대상 개요 = 7 제1절. 천주교 건축의 보존현황 = 7 1. 한국 성당건축의 보존현황 = 7 2. 대전·충남지역의 보존현황 = 9 제2절. 천주교 건축의…

등록번호|100000683

생산일자|2008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지역개발,관광>지역개발>유적 및 경관정비

  • = 18 1. 성당 = 18 2. 사제관 = 19 제3장. 연구대상 건물의 수리이력 분석 = 22 제1절. 관련자료 분석 = 22 1. 수리관련 자료 = 22 2. 본당관련 자료 = 24 제2절. 연구대상 건물의 수리이력 분석 = 27 1. 부여 금사리성당 = 27 2. 부여 금사리성당 사제관 = 49 3. 서산 상홍리공소 = 57 4. 아산 공세리성당 = 63 5. 아산 공세리성당 사제관 = 74 6. 거룩한 말씀의 수녀회성당 = 88 7. 당진

제목| 일본어학습과 일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공주·홍성지역 고교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등록번호|100000681

생산일자|201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교육>중고등교육>총론(혼합)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14 2. 문화관 16 3. 국가관 19 4. 사회관 22 5. 정서적 영역 25 Ⅳ. 공주와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등록번호|100020163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세계의 역사도시 古都를 가다 23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교토 | 이상원 공주 이야기

제목| 계룡산 굿당연구

범위와내용|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1. '산악'으로서의 계룡산 = 13 2. '산'으로서의 계룡산 = 20 3. '산'과 '산악'의 통합으로서의…

등록번호|10000044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형성(形成) = 37 2. 당호(堂號) = 44 3. 유형(類型) = 47 제4장 여러 단소(壇所)와 굿청 = 59 1. 천존단(天尊壇) = 65 2. 허공 산신단(虛空山神壇) = 71 3. 용궁단(龍宮壇) = 76 4. 서낭단 = 80 5. 굿청과 굿상 = 84 제5장 굿청의 '신그림' = 91 1. '신(神)그림'의 종류 = 93 2. 계룡산 '신그림'과 강신무의 신령과의 비교 = 100 3. '신그림'의

제목| 남혈사지

범위와내용|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등록번호|100000763

생산일자|1993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26 7) 第7建物址 = 27 Ⅳ. 遺物 = 32 1. 土·磁器類 = 32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2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1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제목|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범위와내용|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등록번호|10001906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공주의 두레 소리 = 130 / 공주의 두레 농기 = 151 / 두레 싸움 = 158

제목|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범위와내용|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2 공주는 대로에 속함 = 22 판관을 혁파하다 = 23 충청도를 청공도로 고치다 = 23 공주에서 『시전』을 간행하다 =…

등록번호|100000088

생산일자|199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87 금강파수에 힘을 다할 것 = 87 금강에 요새를 만들다 = 88 5. 웅진단 = 88 영험한 곳, 웅진단 = 88 부족한 제사예물 = 89 사회와 경제 = 91 1. 사회상 = 93 민폐상소 = 93 과거 부정 = 96 인재 양성책을 건의 = 97 공주에서도 과거를 보다 = 97 무너진 공산성 = 98 평민이 사족의 부녀자를 강간하였다 = 99 공산성 물자징발의 폐단 = 99 양어머니를 강간하다 = 100 상소문 = 101 2. 경제상

제목|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범위와내용|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2 공주는 대로에 속함 = 22 판관을 혁파하다 = 23 충청도를 청공도로 고치다 = 23 공주에서 『시전』을 간행하다 =…

등록번호|100000087

생산일자|199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87 금강파수에 힘을 다할 것 = 87 금강에 요새를 만들다 = 88 5. 웅진단 = 88 영험한 곳, 웅진단 = 88 부족한 제사예물 = 89 사회와 경제 = 91 1. 사회상 = 93 민폐상소 = 93 과거 부정 = 96 인재 양성책을 건의 = 97 공주에서도 과거를 보다 = 97 무너진 공산성 = 98 평민이 사족의 부녀자를 강간하였다 = 99 공산성 물자징발의 폐단 = 99 양어머니를 강간하다 = 100 상소문 = 101 2. 경제상
2020년 12월 흥미진진공주 309호

제목| 2020년 12월 흥미진진공주 309호

범위와내용|공주시 소식지 『흥미진진 공주』의 2020년 12월호(통권 309호)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2020 시정 주요 성과 = 04 / 이곳에서 한 해 마무리 어때요? = 09 / 2020년 공모사업&시책평가 수상 현황 = 10 / 2021년 시정 계획 = 12 / 갱위강국 웅진백제 이야기 = 16 / 고맛나루 지킴이 = 18 / 이달의 공주 역사인물:…

등록번호|100019043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시보

  • 나아가는 공주문화재단 소식 = 21 / 서울 지역 기업인 20여명 방문, 2020년 로컬푸드 지수 측정 우수상 수상 = 22 / SRT 어워드 최고의 여행지 '대상' 수상, 충남도 첫 민간 개방형 동장 탄생 = 23 / 공주 알림판 = 24 / 의정 소식 = 26 / 100세 시대 = 31 / 시민의 눈 = 32 / 이달의 문화 소식 = 34 / 독자 참여 마당 35

제목| 2007 기획특별전 계룡산

범위와내용|목차 특별전을 열며 = 3 Ⅰ. 계룡산의 유래 = 6 1. 계룡산의 유래 = 8 (1) 계룡산의 풍수지리와 신도안 = 9 (2) 문헌과 지도 속의 계룡산 = 19 2. 계룡산을 노래한 선인들 = 34 (1) 산과 시 = 35 (2) 산의 이야기 = 45 Ⅱ. 신앙이 된 산 = 48 1. 신흥종교의 성지 = 52 2. 불교와 산악신앙 = 58 (1) 갑사 =…

등록번호|100008980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76 (5) 구룡사지 = 80 (6) 고려 태조 왕건과 개태사 = 89 (7) 계룡산에서 발견된 불교유물 = 100 Ⅲ. 계룡산의 역사와 장인들 = 108 1. 계룡산과 백제고분 = 110 (1) 논산 표정리 고분군 = 111 2. 옛 도자기의 멋 = 126 (1)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 126 (2)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 = 141 (3)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현대적 계승 = 150 Ⅳ. 전설이 된 이야기 = 162 Ⅴ. 논고 = 176

제목| 2007 기획특별전 계룡산

범위와내용|목차 특별전을 열며 = 3 Ⅰ. 계룡산의 유래 = 6 1. 계룡산의 유래 = 8 (1) 계룡산의 풍수지리와 신도안 = 9 (2) 문헌과 지도 속의 계룡산 = 19 2. 계룡산을 노래한 선인들 = 34 (1) 산과 시 = 35 (2) 산의 이야기 = 45 Ⅱ. 신앙이 된 산 = 48 1. 신흥종교의 성지 = 52 2. 불교와 산악신앙 = 58 (1) 갑사 =…

등록번호|100000438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76 (5) 구룡사지 = 80 (6) 고려 태조 왕건과 개태사 = 89 (7) 계룡산에서 발견된 불교유물 = 100 Ⅲ. 계룡산의 역사와 장인들 = 108 1. 계룡산과 백제고분 = 110 (1) 논산 표정리 고분군 = 111 2. 옛 도자기의 멋 = 126 (1)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 126 (2)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 = 141 (3)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현대적 계승 = 150 Ⅳ. 전설이 된 이야기 = 162 Ⅴ. 논고 = 176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 초고 검토본

제목|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 초고 검토본

범위와내용|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글의 주요 내용으로는 1.남아있는 백제유적 2.무녕왕능의 발굴과 한일관계사(韓日關係史)의 쟁점(爭點) 3.공주출신으로…

등록번호|500011435

생산일자|1997.2.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글의 주요 내용으로는 1.남아있는 백제유적 2.무녕왕능의 발굴과 한일관계사(韓日關係史)의 쟁점(爭點) 3.공주출신으로 일본에서 활약한 분(이삼평, 퇴석 김인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주문화 2022년 354호

제목| 공주문화 2022년 354호

범위와내용|목차 나의 애송시 그대에게 - 서정윤_ 오명자 웅진칼럼 개방과 관용, 포용의 도시 공주_ 양중진 특집 | 조선통신사, 공주에 남긴 발자취 조선통신상의 파견 배경과 구성, 그리고 경로_ 문경호 조선통신사, 공주와의 인연_ 윤용혁 공주에서 조선통신사 콘텐츠 활성화를 고대하며_ 민정희 특별인터뷰 실패는 깨달음의 기회-오연천 총장_ 조옥순 역사 속 그날…

등록번호|100020112

생산일자|2022.11.15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실록에 보이는 공주이야기 (8) 초려 이유태가 현종에게 올린 상소_ 이해준 공주의 문화유산 (28) ‘무령왕릉원’의 잃어버린 무덤 찾기_ 서정석 유역문화의 흐름 (22) 문학, 풍화와 퇴적으로 이루어지는 자연 현상의 또 다른 실체_ 김홍정 공주 근대문학 이야기 (8) 공주에 출현한 흰곰_ 조동길 알쏭달쏭한 공주의 불교유적 (2) 계룡산 중사자암지 답사기_ 조원창 지상갤러리 (3) 한국 유리화의 선구자 이남규 화가 문화리뷰 (28) 청소년들 끼와
2021년 1월 흥미진진공주 310호

제목| 2021년 1월 흥미진진공주 310호

범위와내용|공주시 소식지 『흥미진진 공주』의 2021년 1월호(통권 310호)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일출명소 같이 나눠요 =04 / 독자들의 2021년 소망 편지 = 06 / 2021년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 = 08 / 한눈에 보는 공주 = 10 / 갱위강국 웅진백제 이야기 = 12 / 이달의 공주 역사인물: 화산 정규한 = 14 / 고맛나루 지킴이 = 15 /…

등록번호|100019044

생산일자|2021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시보

  • = 17 / 주민 스스로 만드는 도시재생사업 국고개는 지금 예술천국, 옥룡동 현장 지원센터 개소 = 18 / 2021년 예산 7509억원 확정, 갱위강국 선포 1500주년 기념 무령왕 동상 건립 = 20 / 겨울공주 군밤축제 비대면·온라인 축제로, 신풍면장 임용 후보자 주민 손으로 선출 = 21 / 공주 알림판 = 22 / 의정 소식 = 24 / 100세 시대 = 29 / 시민의 눈 = 30 / 이달의 문화 소식 = 32 / 함께 사는 세상 = 34

제목| 백제 사원유적 탐색

범위와내용|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

등록번호|100000998

생산일자|2014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Ⅱ. 능사 북편 건물지의 조사내용과 승역의 추정 = 47 Ⅲ. 승역 건물의 구조

제목|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범위와내용|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등록번호|100012354

생산일자|2012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무령왕릉

  • 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무령왕? = 20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와 동아시아 = 22 2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367건

공주 금학동 고분군

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位置와 環境 = 3 1. 位置와 自然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4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內容 = 14 1. 石室ㆍ石槨墳 = 17 1) 1號墳 = 17 2) 2號墳 =…

공주 금학동 고분군

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位置와 環境 = 3 1. 位置와 自然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4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內容 = 14 1. 石室ㆍ石槨墳 = 17 1) 1號墳 = 17 2) 2號墳 =…

천주교 건축유산의 수리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 건축문화재의 수리이력 분석을 중심으로

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3. 논문의 구성 = 6 제2장. 천주교 건축의 보존·수리동향 및 연구대상 개요 = 7 제1절.…

일본어학습과 일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공주·홍성지역 고교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계룡산 굿당연구

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

남혈사지

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

소라실 장승제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소라실 장승제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020년 12월 흥미진진공주 309호

2020년 12월 흥미진진공주 309호

공주시 소식지 『흥미진진 공주』의 2020년 12월호(통권 309호)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2020 시정 주요 성과 = 04 / 이곳에서 한 해 마무리 어때요? = 09 / 2020년 공모사업&시책평가 수상 현황 = 10 /…

2007 기획특별전 계룡산

목차 특별전을 열며 = 3 Ⅰ. 계룡산의 유래 = 6 1. 계룡산의 유래 = 8 (1) 계룡산의 풍수지리와 신도안 = 9 (2) 문헌과 지도 속의 계룡산 = 19 2. 계룡산을 노래한 선인들 = 34 (1) 산과 시 = 35 (2)…

2007 기획특별전 계룡산

목차 특별전을 열며 = 3 Ⅰ. 계룡산의 유래 = 6 1. 계룡산의 유래 = 8 (1) 계룡산의 풍수지리와 신도안 = 9 (2) 문헌과 지도 속의 계룡산 = 19 2. 계룡산을 노래한 선인들 = 34 (1) 산과 시 = 35 (2)…
&lt;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gt; 초고 검토본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 초고 검토본

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공주문화 2022년 354호

공주문화 2022년 354호

목차 나의 애송시 그대에게 - 서정윤_ 오명자 웅진칼럼 개방과 관용, 포용의 도시 공주_ 양중진 특집 | 조선통신사, 공주에 남긴 발자취 조선통신상의 파견 배경과 구성, 그리고 경로_ 문경호 조선통신사, 공주와의 인연_…
2021년 1월 흥미진진공주 310호

2021년 1월 흥미진진공주 310호

공주시 소식지 『흥미진진 공주』의 2021년 1월호(통권 310호)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일출명소 같이 나눠요 =04 / 독자들의 2021년 소망 편지 = 06 / 2021년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 = 08 / 한눈에 보는 공주 =…

백제 사원유적 탐색

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367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367건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367건

제목| 공주 금학동 고분군

범위와내용|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位置와 環境 = 3 1. 位置와 自然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4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內容 = 14 1. 石室ㆍ石槨墳 = 17 1) 1號墳 = 17 2) 2號墳 = 21 3) 3號墳 = 31 4) 4號墳 = 33 5) 5號墳 = 38 6) 6號墳 = 46 7) 7號墳 = 52 8) 8號墳 =…

등록번호|100010842

생산일자|2002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 號墳 = 85 13) 13號墳 = 93 14) 14號墳 = 97 15) 15號墳 = 103 16) 16號墳 = 107 17) 17號墳 = 115 18) 18號墳 = 122 19) 19號墳 = 126 20) 20號墳 = 131 21) 21號墳 = 135 22) 22號墳 = 137 23) 23號墳 = 139 24) 24號墳 = 139 25) 25號墳 = 146 26) 26號墳 = 150 2. 石槨甕棺墓 = 154 1) 1號 石槨甕棺墓 = 154 2

제목| 공주 금학동 고분군

범위와내용|목차 Ⅰ. 調査槪要 = 1 Ⅱ. 遺蹟의 位置와 環境 = 3 1. 位置와 自然環境 = 3 2. 歷史的 背景 = 4 3. 考古學的 環境 = 10 Ⅲ. 調査內容 = 14 1. 石室ㆍ石槨墳 = 17 1) 1號墳 = 17 2) 2號墳 = 21 3) 3號墳 = 31 4) 4號墳 = 33 5) 5號墳 = 38 6) 6號墳 = 46 7) 7號墳 = 52 8) 8號墳 =…

등록번호|100000722

생산일자|2002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기타

  • 號墳 = 85 13) 13號墳 = 93 14) 14號墳 = 97 15) 15號墳 = 103 16) 16號墳 = 107 17) 17號墳 = 115 18) 18號墳 = 122 19) 19號墳 = 126 20) 20號墳 = 131 21) 21號墳 = 135 22) 22號墳 = 137 23) 23號墳 = 139 24) 24號墳 = 139 25) 25號墳 = 146 26) 26號墳 = 150 2. 石槨甕棺墓 = 154 1) 1號 石槨甕棺墓 = 154 2

제목| 천주교 건축유산의 수리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 건축문화재의 수리이력 분석을 중심으로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3. 논문의 구성 = 6 제2장. 천주교 건축의 보존·수리동향 및 연구대상 개요 = 7 제1절. 천주교 건축의 보존현황 = 7 1. 한국 성당건축의 보존현황 = 7 2. 대전·충남지역의 보존현황 = 9 제2절. 천주교 건축의…

등록번호|100000683

생산일자|2008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지역개발,관광>지역개발>유적 및 경관정비

  • = 18 1. 성당 = 18 2. 사제관 = 19 제3장. 연구대상 건물의 수리이력 분석 = 22 제1절. 관련자료 분석 = 22 1. 수리관련 자료 = 22 2. 본당관련 자료 = 24 제2절. 연구대상 건물의 수리이력 분석 = 27 1. 부여 금사리성당 = 27 2. 부여 금사리성당 사제관 = 49 3. 서산 상홍리공소 = 57 4. 아산 공세리성당 = 63 5. 아산 공세리성당 사제관 = 74 6. 거룩한 말씀의 수녀회성당 = 88 7. 당진

제목| 일본어학습과 일본인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공주·홍성지역 고교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범위와내용|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등록번호|100000681

생산일자|2010

형태|도서/간행물류>논문

주제|교육>중고등교육>총론(혼합)

  •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교육과정 현황 9 Ⅲ. 공주지역 고교생의 일본인식 14 1. 일본어학습과 일본 관련 지식 14 2. 문화관 16 3. 국가관 19 4. 사회관 22 5. 정서적 영역 25 Ⅳ. 공주와

제목| 고마나루 이야기 2020년 23호

범위와내용|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등록번호|100020163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기획취재 02 공주시, 무령왕 동상 건립 | 김광섭 공주 창조적 고도 만들기 06 역사문화를 품은 공주도시재생 그리고 사람과 조직 | 임준홍, 이충훈 공주의 보물을 찾아서 18 공주의 미 (2) 충청의 수향교(鄕校), 공주향교 | 이해준 24 역사속의 공주 인물 22 공주 10경을 읊은 신유 문경호 세계의 역사도시를 가다 30 세계의 역사도시 古都를 가다 23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교토 | 이상원 공주 이야기

제목| 계룡산 굿당연구

범위와내용|화보 - 굿당의 이모저모 신들의 꽃밭에 놓는 다리 / 심우성[공주민속극박물관장] 본향을 살려내는 정성과 인연 / 조흥윤[한양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책을 엮으면서 제1장 서론 1 제2장 산(峰), 산악(山岳), 계룡산(鷄龍山) = 9 1. '산악'으로서의 계룡산 = 13 2. '산'으로서의 계룡산 = 20 3. '산'과 '산악'의 통합으로서의…

등록번호|10000044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민간신앙

  • . 형성(形成) = 37 2. 당호(堂號) = 44 3. 유형(類型) = 47 제4장 여러 단소(壇所)와 굿청 = 59 1. 천존단(天尊壇) = 65 2. 허공 산신단(虛空山神壇) = 71 3. 용궁단(龍宮壇) = 76 4. 서낭단 = 80 5. 굿청과 굿상 = 84 제5장 굿청의 '신그림' = 91 1. '신(神)그림'의 종류 = 93 2. 계룡산 '신그림'과 강신무의 신령과의 비교 = 100 3. '신그림'의

제목| 남혈사지

범위와내용|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등록번호|100000763

생산일자|1993

형태|도서/간행물류>보고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Ⅰ. 發掘經緯 = 7 Ⅱ. 發掘地環境 = 10 1. 地形 = 10 2. 發掘前狀態 = 12 Ⅲ. 遺構 = 13 1. 土層 = 13 2. 建物址 = 16 1) 第1建物址 = 16 2) 第2建物址 = 18 3) 第3建物址 = 20 4) 第4建物址 = 22 5) 第5建物址 = 24 6) 第6建物址 = 26 7) 第7建物址 = 27 Ⅳ. 遺物 = 32 1. 土·磁器類 = 32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2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소라실 장승제

범위와내용|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등록번호|100000051

생산일자|1998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읍면자료>면>탄천

  • Ⅰ. 소라실 마음 = 19 1. 소라실 마을의 역사와 '우소라실·박벌미' = 22 2. 역사적 변천 = 27 3. 지명유래 = 43 Ⅱ. 공주시의 장승제 개관 = 55 1. 공주시 장승제의 현황 = 55 2. 소라실 인근마을의 장승제와 거리제 = 56 Ⅲ. 소라실 장승제의 실제 = 67 1. 장승제의 역사 = 67 2. 장승치기 과정 = 75 3.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와 무형문화재 지정 = 104 4. 소라실 장승치기의 성격 = 115 Ⅳ

제목| 공주의 전통예능 채록 조사보고서2 : 공주의 두레

범위와내용|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등록번호|100019060

생산일자|2001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민간신앙,민속>풍속

  • 2001년 공주문화원에서 발행된 도서로 공주의 두레 문화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발간사(정재욱 공주문화원장) = 2 / 추천의 글(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 = 4 / 공주에만 오백여개의 두레가 있었다 = 20 / 두레란 무엇인가 = 22 / 두레의 행사 = 56 / 두레의 집단 놀이 = 94 / 공주의 두레 풍장 = 111 / 공주의 두레 소리 = 130 / 공주의 두레 농기 = 151 / 두레 싸움 = 158

제목|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범위와내용|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2 공주는 대로에 속함 = 22 판관을 혁파하다 = 23 충청도를 청공도로 고치다 = 23 공주에서 『시전』을 간행하다 =…

등록번호|100000088

생산일자|199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87 금강파수에 힘을 다할 것 = 87 금강에 요새를 만들다 = 88 5. 웅진단 = 88 영험한 곳, 웅진단 = 88 부족한 제사예물 = 89 사회와 경제 = 91 1. 사회상 = 93 민폐상소 = 93 과거 부정 = 96 인재 양성책을 건의 = 97 공주에서도 과거를 보다 = 97 무너진 공산성 = 98 평민이 사족의 부녀자를 강간하였다 = 99 공산성 물자징발의 폐단 = 99 양어머니를 강간하다 = 100 상소문 = 101 2. 경제상

제목| 공주실록 :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공주관련 사료

범위와내용|목차 공주의 연혁과 변천 = 18 1. 지리 = 19 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중의 공주목 기사 = 19 2. 행정제도 개편기사 = 22 계수관을 정하다 = 22 공주를 공산으로 고칠 것을 건의 = 22 양전 경차관이 오다 = 22 공주는 대로에 속함 = 22 판관을 혁파하다 = 23 충청도를 청공도로 고치다 = 23 공주에서 『시전』을 간행하다 =…

등록번호|100000087

생산일자|199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조선시대

  • = 87 금강파수에 힘을 다할 것 = 87 금강에 요새를 만들다 = 88 5. 웅진단 = 88 영험한 곳, 웅진단 = 88 부족한 제사예물 = 89 사회와 경제 = 91 1. 사회상 = 93 민폐상소 = 93 과거 부정 = 96 인재 양성책을 건의 = 97 공주에서도 과거를 보다 = 97 무너진 공산성 = 98 평민이 사족의 부녀자를 강간하였다 = 99 공산성 물자징발의 폐단 = 99 양어머니를 강간하다 = 100 상소문 = 101 2. 경제상

제목| 2020년 12월 흥미진진공주 309호

범위와내용|공주시 소식지 『흥미진진 공주』의 2020년 12월호(통권 309호)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2020 시정 주요 성과 = 04 / 이곳에서 한 해 마무리 어때요? = 09 / 2020년 공모사업&시책평가 수상 현황 = 10 / 2021년 시정 계획 = 12 / 갱위강국 웅진백제 이야기 = 16 / 고맛나루 지킴이 = 18 / 이달의 공주 역사인물:…

등록번호|100019043

생산일자|2020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시보

  • 나아가는 공주문화재단 소식 = 21 / 서울 지역 기업인 20여명 방문, 2020년 로컬푸드 지수 측정 우수상 수상 = 22 / SRT 어워드 최고의 여행지 '대상' 수상, 충남도 첫 민간 개방형 동장 탄생 = 23 / 공주 알림판 = 24 / 의정 소식 = 26 / 100세 시대 = 31 / 시민의 눈 = 32 / 이달의 문화 소식 = 34 / 독자 참여 마당 35

제목| 2007 기획특별전 계룡산

범위와내용|목차 특별전을 열며 = 3 Ⅰ. 계룡산의 유래 = 6 1. 계룡산의 유래 = 8 (1) 계룡산의 풍수지리와 신도안 = 9 (2) 문헌과 지도 속의 계룡산 = 19 2. 계룡산을 노래한 선인들 = 34 (1) 산과 시 = 35 (2) 산의 이야기 = 45 Ⅱ. 신앙이 된 산 = 48 1. 신흥종교의 성지 = 52 2. 불교와 산악신앙 = 58 (1) 갑사 =…

등록번호|100008980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76 (5) 구룡사지 = 80 (6) 고려 태조 왕건과 개태사 = 89 (7) 계룡산에서 발견된 불교유물 = 100 Ⅲ. 계룡산의 역사와 장인들 = 108 1. 계룡산과 백제고분 = 110 (1) 논산 표정리 고분군 = 111 2. 옛 도자기의 멋 = 126 (1)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 126 (2)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 = 141 (3)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현대적 계승 = 150 Ⅳ. 전설이 된 이야기 = 162 Ⅴ. 논고 = 176

제목| 2007 기획특별전 계룡산

범위와내용|목차 특별전을 열며 = 3 Ⅰ. 계룡산의 유래 = 6 1. 계룡산의 유래 = 8 (1) 계룡산의 풍수지리와 신도안 = 9 (2) 문헌과 지도 속의 계룡산 = 19 2. 계룡산을 노래한 선인들 = 34 (1) 산과 시 = 35 (2) 산의 이야기 = 45 Ⅱ. 신앙이 된 산 = 48 1. 신흥종교의 성지 = 52 2. 불교와 산악신앙 = 58 (1) 갑사 =…

등록번호|100000438

생산일자|2007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지리,환경>산>계룡산

  • = 76 (5) 구룡사지 = 80 (6) 고려 태조 왕건과 개태사 = 89 (7) 계룡산에서 발견된 불교유물 = 100 Ⅲ. 계룡산의 역사와 장인들 = 108 1. 계룡산과 백제고분 = 110 (1) 논산 표정리 고분군 = 111 2. 옛 도자기의 멋 = 126 (1) 계룡산 철화분청사기 = 126 (2) 계룡산 학봉리 가마터 = 141 (3) 계룡산 철화분청사기의 현대적 계승 = 150 Ⅳ. 전설이 된 이야기 = 162 Ⅴ. 논고 = 176

제목|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 초고 검토본

범위와내용|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글의 주요 내용으로는 1.남아있는 백제유적 2.무녕왕능의 발굴과 한일관계사(韓日關係史)의 쟁점(爭點) 3.공주출신으로…

등록번호|500011435

생산일자|1997.2.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현대

  • 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글의 주요 내용으로는 1.남아있는 백제유적 2.무녕왕능의 발굴과 한일관계사(韓日關係史)의 쟁점(爭點) 3.공주출신으로 일본에서 활약한 분(이삼평, 퇴석 김인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 공주문화 2022년 354호

범위와내용|목차 나의 애송시 그대에게 - 서정윤_ 오명자 웅진칼럼 개방과 관용, 포용의 도시 공주_ 양중진 특집 | 조선통신사, 공주에 남긴 발자취 조선통신상의 파견 배경과 구성, 그리고 경로_ 문경호 조선통신사, 공주와의 인연_ 윤용혁 공주에서 조선통신사 콘텐츠 활성화를 고대하며_ 민정희 특별인터뷰 실패는 깨달음의 기회-오연천 총장_ 조옥순 역사 속 그날…

등록번호|100020112

생산일자|2022.11.15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 실록에 보이는 공주이야기 (8) 초려 이유태가 현종에게 올린 상소_ 이해준 공주의 문화유산 (28) ‘무령왕릉원’의 잃어버린 무덤 찾기_ 서정석 유역문화의 흐름 (22) 문학, 풍화와 퇴적으로 이루어지는 자연 현상의 또 다른 실체_ 김홍정 공주 근대문학 이야기 (8) 공주에 출현한 흰곰_ 조동길 알쏭달쏭한 공주의 불교유적 (2) 계룡산 중사자암지 답사기_ 조원창 지상갤러리 (3) 한국 유리화의 선구자 이남규 화가 문화리뷰 (28) 청소년들 끼와

제목| 2021년 1월 흥미진진공주 310호

범위와내용|공주시 소식지 『흥미진진 공주』의 2021년 1월호(통권 310호)로 목차는 다음과 같다. 일출명소 같이 나눠요 =04 / 독자들의 2021년 소망 편지 = 06 / 2021년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 = 08 / 한눈에 보는 공주 = 10 / 갱위강국 웅진백제 이야기 = 12 / 이달의 공주 역사인물: 화산 정규한 = 14 / 고맛나루 지킴이 = 15 /…

등록번호|100019044

생산일자|2021

형태|도서/간행물류>잡지

주제|총류>시보

  • = 17 / 주민 스스로 만드는 도시재생사업 국고개는 지금 예술천국, 옥룡동 현장 지원센터 개소 = 18 / 2021년 예산 7509억원 확정, 갱위강국 선포 1500주년 기념 무령왕 동상 건립 = 20 / 겨울공주 군밤축제 비대면·온라인 축제로, 신풍면장 임용 후보자 주민 손으로 선출 = 21 / 공주 알림판 = 22 / 의정 소식 = 24 / 100세 시대 = 29 / 시민의 눈 = 30 / 이달의 문화 소식 = 32 / 함께 사는 세상 = 34

제목| 백제 사원유적 탐색

범위와내용|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

등록번호|100000998

생산일자|2014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기타

  • 제1부 제1장 百濟 態津期 大通寺의 位置 = 15 Ⅰ. 머리말 = 15 Ⅱ. 輕部慈恩이 본 대통사지의 가람배치 = 19 Ⅲ. 傳 대통사지 출토유물 = 22 Ⅳ. GIS분석과 출투유물로 본 대통사의 위치 = 28 Ⅴ. 맺음말 = 40 제2장 扶餘 陵寺의 僧域 構造와 姓格 = 43 Ⅰ. 머리말 = 43 Ⅱ. 능사 북편 건물지의 조사내용과 승역의 추정 = 47 Ⅲ. 승역 건물의 구조

제목|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범위와내용|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등록번호|100012354

생산일자|2012

형태|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무령왕릉

  • 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무령왕? = 20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와 동아시아 = 2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