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제목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범위와 내용<테마한국문화사>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무령왕? = 20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와 동아시아 = 22
2. 고분을 통한 역사와 문화의 복원 = 24
|sb| 고대 삼국의 왕릉-굴식 돌방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 = 27
|sb| 한국 고대국가의 무덤 양식 = 30
제2부 무령왕릉 발굴 이야기
1. 필생의 숙제로 다가온 무령왕릉 = 34
|sb| 중국의 육조(六朝) 문화 = 38
2. 도굴의 피해를 비껴간 무령왕릉의 행운 = 41
멸망한 왕조의 왕릉과 도굴 = 41
한 아마추어 고고학자의 만용과 과욕 = 43
|sb| 우리나라 도굴의 역사 = 46
3. 무령왕릉 발굴조사의 숨 가쁜 일지 = 48
삽날에 깬 1,400년의 잠 = 48
세기의 발견, 무령왕릉 = 50
성급함이 부른 돌이킬 수 없는 실수 = 52
조사는 끝나고 = 54
|sb| 3년을 기다려 뚜껑을 열다-일본 후지노키 고분의 발굴조사 = 57
제3부 무령왕의 생애와 웅진기 백제의 역사
1. 격동의 5세기 = 62
2. 무령왕 출생의 수수께끼 = 66
3. 망국의 한을 품고 웅진으로 = 69
4. 왕족들의 피로 얼룩진 웅진 = 71
5. 비로소 재기하는 백제 = 73
|sb| 백제국의 사신이 그려진 <양직공도>(梁職貢圖) = 78
|sb| 한ㆍ일 고고학의 뜨거운 논쟁,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분 = 80
제4부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의 사회 풍습
1. 묘지와 매지권 = 84
두 장의 석판이 전해 준 진실 = 84
묘지인가 매지권인가? = 86
묘지와 매지권의 재음미 = 89
2. 무령왕 부부의 장례 과정 = 94
27개월에 걸친 장례 = 94
백제 왕실의 빈소, 정지산 유적 = 97
|sb| 연구와 파괴의 양면성을 띤 구제발굴 = 100
|sb| 정지산 유적의 대벽건물(大壁建物) = 102
무령왕 부부의 장례 과정 = 104
중국 남조 무덤의 부부합장 = 108
제5부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의 건축술
1. 백제 왕릉의 변천 = 112
한성과 웅진, 그리고 사비 = 112
송산리 6호분의 주인은 누구인가? = 115
|sb| 송산리 6호분 벽화의 기원 = 120
2. 무령왕릉의 구조와 건축 원리 = 122
아치형 천장 올리기 = 122
벽돌 제자리에 놓기 = 124
무령왕릉과 남조 묘의 비교 = 128
|sb| 무령왕릉과 양나라 무덤의 벽돌 = 129
|sb| 아스카(飛鳥) 문화와 나라(奈良) 문화 = 130
|sb| 남조 황제릉의 석각 = 138
3. 목관은 무엇을 말해 주는가 = 140
제6부 백제 장식 미술의 아름다움
1. 무령왕 부부를 치장한 물건들 = 146
관모와 관식 = 146
|sb| 관원의 관을 장식하던 은제 화형 관식 = 151
|sb| 삼국의 관 = 152
여러가지 장신구 = 156
|sb| 삼국의 귀걸이 = 164
허리띠 = 166
|sb| 고대의 금속공예 기법 = 168
신발 = 170
|sb| 삼국의 신발 = 172
2. 베개와 발받침 = 174
|sb| 고대의 칠기 = 177
3. 환두대도와 장식 도자 = 178
환두대도 = 178
장식 도자 = 181
|sb| 고대 한국과 일본의 환두대도 = 182
4. 다양한 청동 유물 = 184
청동 거울 = 184
다리미 = 186
각종 청동 그릇 = 187
숟가락 = 192
|sb| 고대의 수저 = 194
5. 수입된 중국 도자기 = 195
6. 무덤을 지킨 돌짐승, 진묘수 = 198
7. 백제 금속공예의 진수 = 202
금과 은으로 만든 장식 = 203
|sb|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다양한 금은 장식 = 206
각양각색의 구슬 = 208
탄정 = 212
제7부 주변 국가와 전개한 문화 교류
1. 중국과의 문화 교류 = 216
시차가 없는 백제와 중국의 신제품 선호 = 216
|sb| 무령왕릉 등잔에는 어떤 기름을 사용하였을까? = 221
중국 물품의 수입이 끼친 영향 = 222
물건의 수입에서 기술 전수로 = 225
물건과 기술에서 정신세계로 = 226
|sb| 무령왕과 성왕의 중국 파트너, 양 무제 = 229
2. 신라와의 관계 = 231
소원해진 외교 = 231
그래도 문물 교류는 = 232
|sb| 경주 호우총의 청동 합 = 238
3. 가야와의 관계 = 239
대가야를 압박하라 = 239
대가야 지역에서 다시 보는 무령왕릉 = 240
4. 일본과의 문화 교류 = 247
장신구 = 247
관 = 247
신발 = 250
구슬 = 252
|sb| 중국ㆍ한국ㆍ일련의 다리미 계보 = 255
금속 용기 = 255
다리미 = 255
동탁은잔 = 256
거울 = 258
기타 = 242
|sb| 공주 단지리 횡혈묘 조사가 말해 주는 것 = 264
게이타이와 사마 = 267
무령왕의 일본 측 파트너, 게이타이 = 267
|sb| 이마시로즈카(今城●) 고분과 신이케(新池) 유적 = 270
|sb| 이와이의 무덤 이와토야마(岩戶山) 고분 = 272
|sb| 스다하치만(隅田八幡) 거울의 수수께끼 = 273
무령왕 후손의 일본 정착 = 275
부록
발굴 현장으로 보는 무령왕릉의 유물 배치도 = 282
왕의 시신 주변의 유물 배치도 = 284
왕비의 시신 주변의 유물 배치도 = 286
또 하나의 걸작 금동대향로 = 288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 304
도판 목록 = 308
찾아보기 = 314
|sb|는 'special box'의 약자로, 이 책의 흥미를 더해 주는 본문 속의 '특별한 공간'입니다.


유형도서/간행물류


주제역사,유적,인물


시대현대


출처기관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키워드공주;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 무령왕; 전축분; 벽돌무덤; 양나라; 양직공도


태그보기

등록번호100012354


제목고대 동아시아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범위와 내용<테마한국문화사>를 펴내며 = 4
Dicovery of Korean Cultures = 5
The Tomb of King Muryeong - a treasure-trove from the ancient Baekje kingdom = 6
저자의 말 = 8
제1부 무령왕릉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1. 무령왕릉을 보면 백제가 보인다 = 20
일본 천황가의 뿌리는 무령왕? = 20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와 동아시아 = 22
2. 고분을 통한 역사와 문화의 복원 = 24
|sb| 고대 삼국의 왕릉-굴식 돌방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 = 27
|sb| 한국 고대국가의 무덤 양식 = 30
제2부 무령왕릉 발굴 이야기
1. 필생의 숙제로 다가온 무령왕릉 = 34
|sb| 중국의 육조(六朝) 문화 = 38
2. 도굴의 피해를 비껴간 무령왕릉의 행운 = 41
멸망한 왕조의 왕릉과 도굴 = 41
한 아마추어 고고학자의 만용과 과욕 = 43
|sb| 우리나라 도굴의 역사 = 46
3. 무령왕릉 발굴조사의 숨 가쁜 일지 = 48
삽날에 깬 1,400년의 잠 = 48
세기의 발견, 무령왕릉 = 50
성급함이 부른 돌이킬 수 없는 실수 = 52
조사는 끝나고 = 54
|sb| 3년을 기다려 뚜껑을 열다-일본 후지노키 고분의 발굴조사 = 57
제3부 무령왕의 생애와 웅진기 백제의 역사
1. 격동의 5세기 = 62
2. 무령왕 출생의 수수께끼 = 66
3. 망국의 한을 품고 웅진으로 = 69
4. 왕족들의 피로 얼룩진 웅진 = 71
5. 비로소 재기하는 백제 = 73
|sb| 백제국의 사신이 그려진 <양직공도>(梁職貢圖) = 78
|sb| 한ㆍ일 고고학의 뜨거운 논쟁,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분 = 80
제4부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의 사회 풍습
1. 묘지와 매지권 = 84
두 장의 석판이 전해 준 진실 = 84
묘지인가 매지권인가? = 86
묘지와 매지권의 재음미 = 89
2. 무령왕 부부의 장례 과정 = 94
27개월에 걸친 장례 = 94
백제 왕실의 빈소, 정지산 유적 = 97
|sb| 연구와 파괴의 양면성을 띤 구제발굴 = 100
|sb| 정지산 유적의 대벽건물(大壁建物) = 102
무령왕 부부의 장례 과정 = 104
중국 남조 무덤의 부부합장 = 108
제5부 무령왕릉을 통해 본 백제의 건축술
1. 백제 왕릉의 변천 = 112
한성과 웅진, 그리고 사비 = 112
송산리 6호분의 주인은 누구인가? = 115
|sb| 송산리 6호분 벽화의 기원 = 120
2. 무령왕릉의 구조와 건축 원리 = 122
아치형 천장 올리기 = 122
벽돌 제자리에 놓기 = 124
무령왕릉과 남조 묘의 비교 = 128
|sb| 무령왕릉과 양나라 무덤의 벽돌 = 129
|sb| 아스카(飛鳥) 문화와 나라(奈良) 문화 = 130
|sb| 남조 황제릉의 석각 = 138
3. 목관은 무엇을 말해 주는가 = 140
제6부 백제 장식 미술의 아름다움
1. 무령왕 부부를 치장한 물건들 = 146
관모와 관식 = 146
|sb| 관원의 관을 장식하던 은제 화형 관식 = 151
|sb| 삼국의 관 = 152
여러가지 장신구 = 156
|sb| 삼국의 귀걸이 = 164
허리띠 = 166
|sb| 고대의 금속공예 기법 = 168
신발 = 170
|sb| 삼국의 신발 = 172
2. 베개와 발받침 = 174
|sb| 고대의 칠기 = 177
3. 환두대도와 장식 도자 = 178
환두대도 = 178
장식 도자 = 181
|sb| 고대 한국과 일본의 환두대도 = 182
4. 다양한 청동 유물 = 184
청동 거울 = 184
다리미 = 186
각종 청동 그릇 = 187
숟가락 = 192
|sb| 고대의 수저 = 194
5. 수입된 중국 도자기 = 195
6. 무덤을 지킨 돌짐승, 진묘수 = 198
7. 백제 금속공예의 진수 = 202
금과 은으로 만든 장식 = 203
|sb|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다양한 금은 장식 = 206
각양각색의 구슬 = 208
탄정 = 212
제7부 주변 국가와 전개한 문화 교류
1. 중국과의 문화 교류 = 216
시차가 없는 백제와 중국의 신제품 선호 = 216
|sb| 무령왕릉 등잔에는 어떤 기름을 사용하였을까? = 221
중국 물품의 수입이 끼친 영향 = 222
물건의 수입에서 기술 전수로 = 225
물건과 기술에서 정신세계로 = 226
|sb| 무령왕과 성왕의 중국 파트너, 양 무제 = 229
2. 신라와의 관계 = 231
소원해진 외교 = 231
그래도 문물 교류는 = 232
|sb| 경주 호우총의 청동 합 = 238
3. 가야와의 관계 = 239
대가야를 압박하라 = 239
대가야 지역에서 다시 보는 무령왕릉 = 240
4. 일본과의 문화 교류 = 247
장신구 = 247
관 = 247
신발 = 250
구슬 = 252
|sb| 중국ㆍ한국ㆍ일련의 다리미 계보 = 255
금속 용기 = 255
다리미 = 255
동탁은잔 = 256
거울 = 258
기타 = 242
|sb| 공주 단지리 횡혈묘 조사가 말해 주는 것 = 264
게이타이와 사마 = 267
무령왕의 일본 측 파트너, 게이타이 = 267
|sb| 이마시로즈카(今城●) 고분과 신이케(新池) 유적 = 270
|sb| 이와이의 무덤 이와토야마(岩戶山) 고분 = 272
|sb| 스다하치만(隅田八幡) 거울의 수수께끼 = 273
무령왕 후손의 일본 정착 = 275
부록
발굴 현장으로 보는 무령왕릉의 유물 배치도 = 282
왕의 시신 주변의 유물 배치도 = 284
왕비의 시신 주변의 유물 배치도 = 286
또 하나의 걸작 금동대향로 = 288
이 책을 만드는 데 도움을 받은 문헌들 = 304
도판 목록 = 308
찾아보기 = 314
|sb|는 'special box'의 약자로, 이 책의 흥미를 더해 주는 본문 속의 '특별한 공간'입니다.


소장위치자료실 C-6


발행처돌베개


생산자/생산기관권오영


생산일자2012


기증자/수집처공주학연구원


주제분류번호01-423-000007


주제분류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무령왕릉


형태분류도서/간행물류>일반도서


시대분류현대


출처분류기관


공개구분공개


공개비공개사유기본공개대상


원본여부원본


열람조건방문열람만 가능


물리적 특성특이사항 없음


쪽수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