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68년 공주문화원 입구의 모습이다. 입구 우측에 공주라이온스클럽 사각 현판도 걸려 있으며, 그 옆에는 간이 홍보게시대도 세워져 있다.
1971년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제목걸이로 7마디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인 쇼와19년에 공주신사에 후원한 상동제 내용을 찍은 비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금학국민학교 어린이들이 교내 운동장의 그네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KMA 한국능률협회가 주관하는 한국자자치경영 사례발표대회에서 전병용 전 공주시장이 수상하는 모습이다.
2007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스포츠댄스공연 2
웅진동 박산소 장승제⑬ 제를 끝낸 후 자리를 치우는 중.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전산실 사진이다. 왼편에 씨씨티비를 볼 수 있는 화면이 보이고, 오른편에는 전산 장치가 있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2009 계룡산 도자기 축제 다도체험 (1)
가까이에서 본 배다리 흔적(돌 무더기)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9년 귀산국민학교 교내 농한지를 이용하여 화단을 조성하고자 흙을 고르고 있는 모습이다.
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의 모습이다. 한복을 입은 어린아이들이 행사를 관람하고 있다. 서막식이 열린 장소는 공산성 쌍수광장(쌍수정 앞 추정왕궁지)이다.
1997년 5월 보룡초에서 진행한 공수원천 환경정화 장면이다.
1999년 계룡초등학교 추계 체육대회 학생들과 마을어르신들이 북, 꽹가리 등을 이용한 사물공연과 한복입은 학생들의 널뛰기가 한창이다.
공주사대부고 의 충청감영 재현공사로 학교입구의 변화가 크다.
1978년 월산초등학교에서 성낙서 장학회장에게 교장 감사패를 수여하는 장면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