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운암간이학교 6회 졸업사진이다. 사진 하단에 (소화(昭和))16.03.연도가 기재되어있다. 본교 건물을 배경으로 선생님도 함께 사진을 촬영하였다.운암간이학교는 1934년 호계공립보통학교 부설운암간이학교로 인가를 받아 운영되었며, 1947년마곡국민학교로 재인가를 받아…
2008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동학사 진입로 전경 (28)
1953년 이후로 추정되는 대룡국민학교 제2회 졸업식 단체사진이다. 교사 창문이 손실된 모습에서 전쟁의 참상을 엿 볼 수 있다. 대룡초등학교는 본래 1944년 신풍초등학교의 분교장으로 설치되었으며, 광복 이후 1947년 9월 1일 대룡국민학교로 승격되어 분리된…
2003.06.03.~06.04. 개최된 공주고등학교 제4회 봉황 축제 관련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연예인들이 보낸 공주고등학교 축제 개최 축하 메시지 영상을 운동장에서 보고 있다.
1965년 공주영명중학교 재학생이 공주결핵병원과 금강을 배경으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공주결핵병원은 이후 몇차례의 증개축 과정을 거쳐 오늘날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건물로 활용되고 있다.
1989년 35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64년 공주중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공주중학교 교기의 모습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공산성 광복루의 전경이다. 본래 공산성 중군영의 문루인 '해상루'였는데 이를 일제가 '웅심각'으로 바꾸었다. 그러다 광복이후 백범 김구가 공주를 방문하며 다시 웅심각에서 광복루로 이름을 지어 주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
1974년 계룡국민학교 제52회 졸업앨범 속 새마을체육대회 사진이다. 대회에 앞서 운동장에 줄을 맞춰 선 후 준비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시마의 항구에는 공주와 가카라시마의 16년간 교류를 상징하는 벽화가 항구에 그려져 있다. 가장 마지막에 그린것은 2018년으로 공주영명중학교 학생들과 가카라시마 학생들이 함께 그린 벽화가 있다.
운암간이학교 4회 졸업사진이다. 본교 건물을 배경으로, 선생님도 함께 사진을 촬영하였다. 운암간이학교는 1934년 호계공립보통학교 부설운암간이학교로 인가를 받아 운영되었며, 1947년마곡국민학교로 재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 (24)
가카라시마에 무령왕기념비 제막식을 앞두고 공주의 이걸재와 풍물단의 '터 다지기' 의식이 빗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반포면 봉곡리에 위치한 음식점 싸리골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도서관이 개관했을 당시 학생들이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1998년 계룡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주변 정화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빗자루를 이용하여 학교 주변 정화활동에 힘쓰고 있다.
1987년 공주금학국민학교 야구부의 단체사진이다. '금학'이라고 적힌 파란 모자와 '공주 금학'이라고 적힌 하얀색 야구복을 유니폼으로 하고 있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