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8 계룡산 산신제 풍물앉은반 - 놀이패풍장 (2)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마을조사 과정에서 생산한 사진 원본 필름이다.
1981년 반포국민학교 제58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학생들과 교직원이 본교사 바로 앞에 의자를 놓고 졸업기념 사진을 촬영하였다. 한편, 반포국민학교는 1921년 반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2006 계룡산 산신제 유가식수신제 (12)
1978.11.11. 제12회 쌍수문학제(雙樹文學齊) 사진으로, 학생들과 외부인들이 함께 강당에 모여 식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2000년대 초반 계룡산 갑사 입구에 위치한 괴목대신에 대한 제를 올리며 촬영한 사진이다.
1955년도 제33회 계룡국민학교 졸업기념으로 촬영한 단체 사진으로, 졸업반 학생들과 교직원이 계룡국민학교 본교사 앞 운동장에서 촬영하였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제16대 교장 박격흠(朴格欽)을 촬영하였다. 본래 17대 교장이지만, 해당 사진에서는 16대로 오기재 되어있다.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동제 식기이다.
제23회 백제문화제 사진이다. 서막식전에서 전통탈과 옷을 입고 공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1971년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금제 장신구이다.
공주시 장기면 하봉리 충렬사에 있는 진주유씨 정려비 옆 비석들 중 유희원의 처 부령김씨의 정려사적비의 모습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63년경으로 추정되며, 공주사대부고 학생들의 제민천 정화운동 장면이다. 멀리 공주침례교회가 보인다.
2018년 4월 28일 열린 유불무가 함께하는 2018 계룡산산신제의 제 21회 계룡산 무가식 산신제 진행 모습이다.
1990년 발행된 공주여고 동창회보 청란에 기재된 1970년대 학교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