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대웅보전에 소장된 삼세불도 아미타회상도와 약사불도에 관한 것이다.
제2대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재임 중이던 1921년 공주를 방문했을 때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 호남철도 노선도 엽서이다. 공주는 호남선이 부설된 도시는 아니지만 당시 충청남도 지역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던 곳이기 때문에 노선도에서 도시의 규모가 크게 표시된…
2005년 2월 28일에 진행한 무령왕 교류 진서정 실행위원 공주시 방문 관련 문서이다. 일시, 장소, 참석인원, 주요 협의 사항, 무령왕기념비 문안이 적혀있다.
백제문화제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가장행렬 배치 및 설명을 수록함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여자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9년 1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적은 공주향교중수기 해석문 초안이다. 메모지에는 중수기의 원문을 해석한 내용을 기재하고, 수정 및 오탈자 등의 수정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공주향교중수기는 공산지에 수록된 것으로, 1813년 충청도관찰사 원재명이 향교전체를 중수하면서 쓴…
2007.11.23.자 이케노보 야스코 관련 간담회 참석자 명단으로 번호, 성명, 한자, 영문, 비고 순으로 윤여헌 향토문화연구회 회장님이 명단에 수록되어 있다.
1990년 국립공주박물관에서 실시한 제8회 어린이 문화재미술실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5학년 노일환 학생이 우수상을 받은 내용의 상장이다.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1961년 정안국민학교 제6학년 신영수 학생이 1년간 개근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의 상장이다.
1956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7,8,9월 간 3개월분의 수업료 일금 칠백오십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중학교 수입원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기가…
충청남도 새마을지도자 표창대상자 명단
백제문화제집행위원장이 백제문화제 행사 계획에 대한 회의 개최를 알리는 공문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논문발표회 참석에 관한 건 외
1995년 누마즈시에 방문했을 때 조선통신사가 숙박했던 세이켄지를 방문했던 기록이다. 高山樗牛기념비가 있는 것을 보고 관련이 있는 것인지 의아해 하기도 했으며 동시에 그를 소개하면서 '세이켄지의 종소리'라는 작품을 언급한다.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유사한 자료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