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79년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교내 채소밭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우측에 '패할대근(貝割大根)의 소채류, 파종된 곳: 강당 옆(79년 봄 일본 기증)'이라고 쓰여져 있는데, 貝割大根은 'かいわりだいこん(카이와리다이곤)'을 일컫는 말이며 무 씨앗에서 싹 터…
1960년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의 모습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아직 떠나지 못한 집의 아이들이다. 앞의 공터에는 집을 헐은 흔적이 보인다.
벽시계가 4시 2분 전을 가리키고 ‘58 성안마을길’ 표시판이 공허하다.
1989년 귀산국민학교 학생들이 새마을 수련회에 앞서, 선서식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학생대표가 교장선생님 앞에서 선서문을 낭독하고 있으며, 다른 학생들도 선서자세로 운동장에 서 있다.
1988년 제66회 계룡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6학년 1반 학생들의 교내 단체사진이다. 운동장에 있는 원형 놀이기구에 앉아 사진을 찍었다.
2000년 제78회 졸업앨범에 실린 계룡초등학교 가을운동회 사진으로, 운동회를 위하여 운동장으로 힘찬 입장을 하고 있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운동장 위에는 '계룡꿈돌이들의 가을대축제'라는 플랜카드가 걸려있다.
2012년에 고고학으로 본 웅진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백제문화학교 시민학술세미나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우금치동학혁명100주년기념사업 개막식 고사에 참석한 제관의 모습이다.
1978.11.11. 개교 56주년 웅진예술제 관련 사진으로, 공주극장에서 열창을 하고 있는 합창단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계룡면 하대리(불당골)의 연로한 할머니는 한 때 잘나가던 무당이었다. 뒷 창문 너머에는 야외 굿상을 차렸던 흔적이 남아있다.
2010년 56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조회 모습이다. 공주고등학교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중학동에 위치하였다. 한편 사진 속에서는 1961년 당시 민둥산에 가까웠던 공주고등학교 인근 풍경을 확인할 수 있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첫째날 양화1리 회관 건립식 (7)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일대에 대한 마을조사 과정에서 생산된 원본 필름을 슬라이드화 한 것이다.
1959년 제8회 공주중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주중학교 3학년 4반 학생들이 3.1중앙공원(앵산공원)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학생들 뒤편으로 중동성당과 민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