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56년 공주영명고등학교에서 발행한 졸업장으로, 오재봉 학생에게 수여하였다. 3개년의 전과정을 졸업하여 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영명고등학교 제2대 교장인 황인식 씨의 이름과 직인이 찍혀 졸업장을 발행하였다.
계룡국민학교 후원회칙의 일부이다. 문서 윗부분이 오려져 전체를 알 수없지만, 학교의 교육사업을 후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성립되었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1967.06.14, 공주문화원 이관용 원장이 미국 국무선 초청으로 약 2개월간 미국과 유럽, 동남아 지역을 시찰하고 귀향하여 보고강연회를 개최했다. 당시 두 차례로 나뉘어 진행된 강연은 '우리나라와 비교해본 구미제국과 동남아의 실정'이란 주제로 강의가 이뤄졌다.
윤여헌 교수가 공주향교 양사재 거접절목과 명륜당 중수기를 해석하고 자필로 쓴 해석문 초안이다. 마지막 장에는 수령칠사에 대한 설명과 반계수록의 문장이 발췌되어 있다. 그는 이 자료 해석을 한 후, 공주향토문화연구회에서 간행한 웅진문화 제 6집에 '공주향교부설…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 거행을 알리는 공문 및 행사요약서
1982년 공주군교육청에서 주최한 '군내 음악경연대회'에서 유구국민학교 이현정 외 59명의 학생들이 합창부문에서 장려상을 수여받은 내용의 상장이다.
1945년 공주 금성금융조합에서 발행한 통장으로, 표지를 제외하고 약 10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표지에는 '거치예금증서'라는 제목과 함께 예금자의 성명과 주소 등이 기재되어 있으며, 계약서 및 약관도 내지에 탑재되어 있다.
기증자가 1980년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에 근무하면서 작성한 교무수첩이다. 담임을 맞은 학급의 학생들 면면과 성적, 평소태도 등이 적혀있으며, 교무회의 중 나온 중요 내용을 필기한 부분도 눈에 띈다. 또한 본 자료의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는 사대부중과 사대부고 소속…
국립공주박물관이 지역대표 문화공간으로서 진행한 전시, 프로그램 소개와 2009년 하반기 주요 업무 자문 안건이 실려있다. 문서내용이 4쪽부터 12쪽까지 존재한다.
1996년 제21회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 Soft의 전시회 방명록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의 모습을 현재의 중앙공원에서 내려다본 사진그림엽서이다.
1976년 제36회 공주군 추계 친목배구대회 진행을 알리는 초청장이다. 당시 배구대회는 제1회 김종필기 쟁탈 배구대회를 겸하여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농림부에서 발행한 토지상환증서로, 농지개혁법에 의거하여 정부가 분배한 농지의 상환증서로 교부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상환액과 상환자, 약정이 앞면에, 분배농지의 표시 및 영수금이 뒷면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메모로, 그 내용은 동토공(童土公筆跡) 즉 동토 윤순거가 쓴 필적이다. 필적의 원문과 자의에 대한 메모가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일본 각 행정구역명칭(도도부현)의 유래를 정리한 표이다.
1961년 공주 계룡면 주민에게 발행된 조선일보 7월분 정기구독권에 대한 영수증이다. 영수증에 의하면 구독료 육백환이 청구되었다.
백제문화제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가장행렬 배치 및 설명을 수록함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4년 8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일제강점기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1920년대 초까지 있었던 일제의 대신궁이다. 일제는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을 위해 곳곳의 사적지를 공원화하면서 그곳에 신사를 건립했다. 공주에서는 공산성을 산성공원이라 격하시키고, 미국 선교사가 세운 영명학교 인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