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반포면 봉곡리 원당암의 천존탑이다. 일반적인 탑보다 훨씬 크게 쌓은 것이 특징이다. 꼭대기에는 태극기를 꽂았다. 보통 굿당에는 하얀색(하늘을 상징) 깃발과 빨간색(땅을 상징) 깃발 외에 태극기를 꽂아 놓는데 이는 국가의 번영을 기원하는 뜻이라고 한다.
공주향교 서무의 모습이다.
신기동에 위치한 계룡산묵사랑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 (43)
금성여자고등학교 제9회 졸업앨범에 게재된 사진으로, 3학년 4반 학생들이 무령왕릉 앞에서 졸업기념사진을 촬영하였다. 하복을 입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여름에 촬영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졸업기념사진첩에 수록된 학교 교사 풍경이다.
마곡국민학교의 분교인 월가국민학교의 11회 졸업사진이다. 1992년 마곡국민학교 월가분교장이 승인되어 월가국민학교가 개교하였고, 1997년 월가분교장을 흡수하여 마곡국민학교로 통폐합되어 개칭하였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3년 무령왕릉 발굴 이후 발간한 발굴조사 보고서에 수록된 무령왕 금제뒤꽂이 사진이다.
공주문화원 생활관 내부 사진이다. 맞이방에는 책상을 두고 서로 마주 앉는 좌식 형태이며, 나전칠기나 도자기 등의 장식품도 보인다. 서예 작품을 유리 안에 넣어 전시하고 있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8년 10월 22일 오후 2시부터 공산성 쌍수정 광장에서 열린 제3회 문화재수호글짓기백일장 및 사생대회 현장의 모습이다. 공주문화원 주최로 공주군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969학년도 공주여자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교무과 소속 선생님의 집무모습이다. 당시 공주여고 교무과에는 8명의 선생님이 배속되어 있었다.
탄천중학교와 새마을운동 자매결연을 맺은 탄천면 국동리에서의 사진이다. 국동마을안길 3km에 걸쳐 길가에 나무를 심는 탄천중학교 애향반원들의 모습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8 계룡산 산신제 마을산신제 (21)
공주문화원 문학의 밤 소속원의 단합대회 모습으로 추정된다.
공주새마을운동 - 제30회 공주군 새마을청소년 경진대회(14)
2004 고마나루 전통축제 염라대왕 납치사건 공연 (6)
정확한 건축연대는 알 수 없으나 반죽동은 충남도청이 위치했던 곳으로 일제시기를 거쳐 최근까지 ‘공주군 1번지’로서의 역할을 했던 곳이다. 시청, 법원, 검찰정 등 주위에 있어 당시 주요 인사들의 만남의 장소로 꽤 번창했던 장소였다. 최근 해체되고 식당이 들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