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쇼와 8년(1933년)에 작성된 공주시민 이준하, 이수준, 윤명재 3인에 대한 판결문이다. 주문과 공소 이유서 등 관련 서류가 포함되어 있다.
1998년 공주대학교에서 학생들의 등교와 하교 편의를 도모하고 면학여건 등을 조성하기 위해 통학버스를 운영함을 알리는 안내문이다. 본 자료에는 대전과 청주, 부여, 천안으로 향하는 버스의 요금과 시간표가 적혀있다.
서류1 : 회의안내(장기 종합계획 준비를 위한 토의)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1953년 납부금 영수증이다. 영수증에 의하면 12월과 이듬해 1월에 걸친 2개월분의 납부금으로, 일금 칠만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하단에는 영수받은 학생의 성명이 적혀 있다.
1958년 공주중학교에서 발행한 졸업장이다. 공주중학교 3개년의 전 과정을 졸업하여 졸업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상장 테두리 상단에는 공주중학교 심볼이 함께 실려 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박근모 씨 정보, 영단어 정보, 두 일본인의 전화번호, 이유를 알 수 없는 인물의 명단, 책의 저자와 제목과 가격, 인터넷 사이트 주소 등 여러가지 주제의 메모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1989년 충청남도 육상경기연맹에서 주최한 제36회 도내 종별 육상경기 선수권 대회 겸 제23회 국민학교 대항 육상경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가 상장을 수여받았다. 수상의 주인공은 여국공던지기 종목에서 44m16 을 기록하여 2등에 입상한 귀산국민학교 오명신 학생이다.
1985.11.30,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52차 임시총회 회의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총회를 통해 1985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 심의가 진행되었고, 임원 임기만료에 따른 새로운 임원 선출도 이뤄졌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제1장에는 윤여헌 자신의 소학교, 중학교 재학연수를 따진 흔적 및 미상의 일본 노래 가사가 적혀있고, 그 뒤에는 어린시절 외웠던 황국신민선언문이 메모되어 있다. 제2장에는 자신의 소학교, 중학교 시절을 추억하면서, 그 시절에 한…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고려조 말기의 인물인 강호문의 한시 '웅진도'와 홍량호의 한시 '쌍수정'이다. 한시의 본문은 아래와 같다.

[웅진도]
江水茫茫入海流
강물은 아득하여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靑山影裏一扁舟
청산의 그림자 가운데 일엽편주…
일본서기와 5세기의 백제-곤지는 왜 일본으로 갔나(한성대학교 이재석)
2002년 공주사범대학부설중등교원연수원에서 진행한 연수교재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헌법 규범의 이해
1. 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2. 국민주권
3. 기본권
4. 권력 분립주의
계룡국민학교에서 35회 졸업생인 진경희님에게 단기 4285년 6월 24일에 발행한 영수증이다. 2000원을 청구한 것으로 보이며, 월분 및 종별을 기입하는 곳을 기재하지 않아 금액을 청구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 담임성명 대신 도장을 찍었다.
1961년 공주 계룡면 주민에게 발행된 조선일보 7월분 정기구독권에 대한 영수증이다. 영수증에 의하면 구독료 육백환이 청구되었다.
1961.11.23, 다방 낭낭에서 진행한 제75회 음악감상회 안내장이다. 감상곡으로 푸치니의 토스카가 연주되었고, 참석 회비로 200환이 징수되었다.
1972.10.29, 공주문화원에서 신상철 체신부 장관을 모시고 시국 좌담회를 개최했을 때 배포한 초청장이다.
제 45회 백제문화제의 추진계획안 및 예산안 , 제 46회 백제문화제의 발전방향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위원명단 수록
마곡사 영은암의 모습이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로 제작되어 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