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87년 독립운동가이자 공주의 교육자인 황인식 지사에 대한 비석 제막식의 식순과 비석 제문이 담긴 원고이다.
1996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 주최한 '공주시 학생음악경연대회'에서 공주금학초등학교 합창부가 금상을 받았다. 교명하단에는 지도교사명도 기재되어 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2년 7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1964년 공주군농가대여양곡관리특별회에서 발행한 상환고지서이다. 1964년 12월 15일까지 양곡 35kg을 지정된 장소에 수납장에 납부할 것을 고지하고 있다. 전표 상단은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또 고지서에 의하면 공주군에서…
복수자격소지자 임용고사 가산점 부여 안내 외
1960년대 계룡면 유평리 주민이 작성한 지출 메모로, 원래 납부고지서 뒷면을 이면지로 활용하여 사용했다. 67원 83전에 대한 세부 내역이 수기로 작성되어 있다.
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이 보인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사라지고,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부 간의 갈등을 잘 해결하고 결혼 생활을 원만히 하는 것에 대한 수필이다.
1959년 공주고등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서로, 제1기분 납부금으로 일금 오천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고등학교도수입원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이인면 구암리 석실분 이전, 복원에 관한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현황
구조
이전, 복원 사유
해결방법
이전, 복원 비용
현황사진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 행사집행 결과양식을 보녀낸 공문과 자료양식을 첨부함
2005년 10월 27일 충청남도역사문화원장에게 받은 위촉장이다. 윤여헌을 2005년도 충청남도 비지정동산문화재 실태조사 사업의 자문위원으로 위촉한다는 내용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문서이다. 우리나라 헌법에 대한 강의안으로 우리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 중 생존권, 행복추구권, 사생활의 자유와 비밀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백제문화제 이벤트개발에 관한 논문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북가섭암 인법당에 소장된 신중도에 관한 것이다.
1911년 공주 산성정 일대의 대로에서 진행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의 모습을 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대로의 끝 부분에 위치한 공산성 쌍수정의 모습과 함께 당시 산성정에 위치한 석유창고의 모습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행사계획과 행사별추진계획을 수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