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시민합동 전통혼례식 신청서 양식
공주문화원에서 1984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하고 심의 가부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 서면결의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시의 옛 지명 관련 메모이다. 지막골, 즈믄산, 향교골, 강경골, 영남촌 등 여러 역사를 가진 공주의 지명들이 수록되어 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대광보전에 소장된 '충청우도공주판지서령태화산마곡사대광보전중창기'에 관한 것이다. 본 유물은 대광보전 중창을 기념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마곡사의 창건 이후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한 글이 쓰여있다. 아울러 대광보전 중창과 관련된 각종 내용도…
1987년 4월 12일 충청남도테니스협회가 주최한 충청남도 춘계 종별 테니스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 학생 김영섭, 김능규가 남자 고등부 복식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1952년 생산된 잠견공동판매전표로 총 일금 팔만육천팔백오십원이 영수되었다. 계산서 상단에는 발행날짜와 영수받는 사람의 주소, 성명을 적는 칸이 있고 그 아래로 잠견의 등급, 수량, 단가, 대금을 상세히 기재할 수 있도록 구획해놓았다.
일제강점기 공주시가지 지도(日帝時期 公州市街地 地圖)와 윤여헌이 직접 그린 공주시내유적 분포도이다.어떤 문서의 참고 자료에 넣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1920년대 공주 시가지 지도 똑같은 문서 3쪽, 공주시내 유적 1쪽으로 묶어져 있다.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 관한 특별 조치법 제5조 제1호의 규정에 의거하여 보증인을 위촉한 증서이다.
한글날 515주년을 맞아 1962년 10월 9일 오전 10시 30분경 공산성 4.19학생혁명기념탑 부근에서 개최한 한글 백일장 개최요강 및 참가신청서 양식이다. 당시 백일장은 공주문화원이 주최하고, 공주군교육회, 미국공보원, 대전방송국, 공보부중앙공보관대전분관에서…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서는 윤여헌 교수가 일본서적의 한 부분을 자필로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왼편에 'S. 숫자'를 별도로 표기하였는데, 본책의 페이지를 뜻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하지 않다. 책의 제목은 알 수 없으나, 제4장과 5장이 필사되었다. 앞부분의 필사한 내용은…
1956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대출금 영수증이다. 문서 상단에 날짜 아래로 표가 있는데, 계정과목(計定科目) 이하로 조합원의 인적사항이 적혀있다. 적요(摘要)란에는 가영수증(假領收證), 기한, 대부금 잔액 등을 적을 수 있는 란이 있으며, 가장 우측에는 영수금액 및…
1982년 충무교육원에서 발행한 교육연수이수증이다. 충무교중등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원의 연수를 증명하는 이수증이며,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연수종별 및 기간 등을 상세하게 적었다.
1955년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원에서 생산된 공문으로, 의안(議案) 제1호 단기 4287년도 대전지방법원 공주지원청 세입세출결산의 인정을 별표와 같이 제출한다는 내용이다. 세입금과 세출금, 과목 및 관·항·목 및 예산액, 수입액, 비고 등이 수기로 기재되어 있다.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25000분의 1 지도 금강 부분 (2)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12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