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의 조카인 윤홍식이 윤여헌 교수에게 전해올린 네번째 친필 문안 서신이며, 웅진문화 제13집을 발행하였다는 사실과 더불어 윤여헌 교수의 옥고(玉稿)를 비롯하여 서동설화 연구, 문관(文冠) 등에 대하여 작성한 논단에 큰 존경을 품는다는 뜻을 밝혔다. 더불어…
계룡국민학교 제52회 졸업생인 민대순님의 3학년 아동발달상황통지표 및 수료증이다. 교과학습발달 및 행동발달과 특별활동, 신체검사, 출결상황과 가정통신이 기재되어있다. 수료증에는 3학년 과정을 수료하였다는 증명이 담겨있다.
1954년 생산된 잠견공동판매전표로 발행된 영수증이다. 계산서 상단에는 발행날짜와 영수받는 사람의 주소, 성명을 적는 칸이 있고 그 아래로 잠견의 등급, 수량, 단가, 대금을 상세히 기재할 수 있도록 구획해놓았다.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이다. 일금 육십환을 사친회비 5월분으로 청구하였다. 계룡국민학교 35회 졸업생인 진경희님에게 단기 4286년 5월 20일에 발행하였다.
1927년도 반포공립보통학교 임월수 학생의 통신부이다. 통신부는 일제강점기 성적통지표를 일컫는 말로, 성적표, 근태표, 신체검사, 통신문 등이 적혀 있고, 축일과 제일, 주의사항 등이 인쇄되어 있다.
체신부에서 제작한 우편번호부이다. 체신부는 우편,전기통신, 전파관리, 우편환, 우편대체, 체신예금, 체신보험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으로 현재의 정보통신부이다.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1971년 공주사범대학 논문집에 실린 김영묵의 '중흥의 역사적인 것'을 기증자가 발췌한 것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고방에 소장된 영산전 신중도에 관한 조사카드이다.
서기, 천황, 기사가 적혀있다. 뒷장에는 일본고성우회(日本古城友会) 30주년 기념으로 진행한 한국의 고대산성 찾아가는 여행(韓国の古代山城を訪ねる旅)에 대한 정보 문서가 첨부되어있다. 1994년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의 일정으로 수원, 공주를 방문하는 일정이다.
명함(18)
1960년 공주고등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제2기분의 납부금으로 일금 팔천칠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고등학교 수입원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납부 내역은 수업료, 사친회비, 학도전비 명목이다.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1964년 공주문화원에서 10/10~11/10 한 달 간 공주 관광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 관광에 대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하는 문서이다.
1971년 3월 19일 오후 3시에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제1회 공개강연회를 위하여 공주교육대학 박용진 교수가 만든 강의안을 토대로 공주문화원에서 만든 공문의 기안문이다. 표지 첫면 하단부에 결재표가 기재되어 있고, 기안자의 도장이 찍혀 있다. 이날에는 박용진 교수…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 송산리고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27년부터 1933년까지 공주고등보통학교 일본어교사 가루베지온(經部慈恩)은 공주 곳곳의 백제유적을 찾는다는 명분으로 고적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때 송산리고분군 1~6호분이…
일제강점기 공주 계룡산 단풍나무 숲길 모습이다. 단풍놀이를 즐기기 위해 계룡산을 찾은 지역유지와 일본인으로 추정된다. 우측의 조선인과 대비를 이루는 점이 인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