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남궁화가 1957년에 대전, 서울, 보령 일대에서 작성한 보덕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수기로 선을 그어 일지를 기록하였는데, 앞부분에는 매월일정표를 달력과 함께 기입하고 그 뒤로 하루 일과를 기록하였다. 그 뒤로 부록처럼 인격자 기록, 그 해의 특기사항, 명언,…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도서대금 영수증이다. 일금 이백환으로 인쇄되었는데, 이(貳)를 삼(參)으로 수기 정정하였다. 계룡국민학교 39회 졸업생인 진무섭 님에게 단기 4288년 6월 23일에 발행하였다.
1959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수입이자영수증이다. 단기로 기재된 날짜 밑으로 영수받는 자의 성명이 적혀있다. 전표 가장 우측에는 세로로 금액을 기재할 수 있고, 대부(貸付)종별과 연월일, 산출원금(算出元金)과 연월일 및 일수, 이율과 이식(利息)을 차례대로 적는 칸이…
공주군 계룡면 향지리에 거주하는 주민의 인감증명서이다. 문서에 의하면 농협 영농자금 융자 대출을 위해 계룡면사무소에서 당사자가 발행을 요청하였다. 공주군수입인지가 부착되어 있다.
1956년 공주영명고등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일금 2,800환을 청구하는 내용이다. 영수증 하단에 의하면 4월분의 수업료, 호국단비, 사친회비 등의 비목이 인쇄되어 있고, 이를 청구하고 납입한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청구받는 학생의 학년과 반, 번호 및…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2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1970.08.04, 공주문화원에서 진행한 이병주 의원 귀향 보고 강연회 초청장이다. 강연인은 서독 정부의 초청으로 유럽 일대를 시찰하고 귀국했는데, 시찰 중 보고 느낀점을 강의 주제로 삼았다.
대통사지에 설립되려 하는 한옥촌 설립을 반대하고자 반대촉구를 호소하는 호소문이다. 대통사의 위치가 확인되었지만 유적이 매몰되고 한옥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이라는 사실을 알리며 대통사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중요성으로 1.삼국시대 사찰 중 이름,연대,장소를 알 수…
99학년도 대학입학고사를 위한 전체 교직원회의 개최
도시샤 대학과 조선총독부 발표자 김태성'이라고 적혀있다.
1965년 반포국민학교에서 제6학년 남신현 학생에게 수여한 상장으로 반포국민학교에서 개최한 글짓기대회에서 입선하여 상장을 준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1967.10.05,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제15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신축원사 등기부 등록에 관한 안건이 논의되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무령왕 관련 메모이다. 무령왕의 출신과 왕통에 대한 사료 검증과 일본서기와의 교차 검증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김재붕의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되었는데, 메모의 앞장에 김재붕: 무령왕과 스미다하치만궁(신사)이라고 쓰여 있다. 한편, 메모지에…
1964.12.29,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제2차 이사회의 회의록이다. 본 자료는 회의 당시의 내용을 속기한 자료를 바탕으로 편집한 회의록이다. 당시 회의에서는 문화원 청사 신축과 관련된 보고가 진행되었다.
1910년대 후반에서 1920년대 초반경, 미선교사 가옥과 공주시가지의 모습이다. 제민천 하류는 개간이 되었으며, 지금의 중동 부근에 시가지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설된 모습이다.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과 배다리의 모습이다. 멀리 쌍신동의 정안천 제방과 연미산 능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주교가 가설된 1920년부터 금강교가 가설되기 전인 1933년 이전의 모습으로 보인다.
김흥남이 일본 정하당소장 허구서필 서선을 다루면서 허구서의 국적문제에 대해 적은 문서다.
서류1 : 회의안내(심포지움 개최에 관한 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