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70년대 공주금학국민학교 후동교사가 신축공사중인 모습이다.
1970년대 공주라이온스클럽에서 공주경찰서를 방문한 후 정문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반죽동 시절 공주경찰서의 모습을 엿 볼 수 있는 자료이다.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소라실 마을에 전승되는 장승제의 모습이다. 현재 시도무형문화제로 지정되어 마을축제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금송 식재 전 공주학연구원에서 윤여헌 원로학자의 좌장으로 열린 '80년 전 공주를 말한다'는 간담회 전경
유구읍 덕곡리에 위치한 계곡가든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김종서 묘역을 오르기 전에 만날 수 있는 비석의 모습이다.
2008 계룡산 산신제 황해도 만구대탁 굿 (30)
1970년 공산성 동쪽 끝자락에 위치한 성벽에서 금강의 상류를 배경으로 촬영한 공주사대 졸업대상자의 사진이다.
1959년 공주문화원에서 학생 클럽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하던 4H클럽 활동의 활동모습이다. 본 자료는 시내에서 놀이패 활동을 수행하는 클럽 소속 학생의 모습이다.
기증자와 그의 자매들과 함께한 벚꽃이 만개한 쌍수광장 나들이 사진이다.
중학동 도로 정비③ 이제 곧 사라질 건물들
1943년 의당공립국민학교 재학생이 공주 시내 봉황산 중턱에 위치한 공주신사에서 단체로 참배하는 모습이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서슬퍼런 식민통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1969학년도 공주여자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신축 교사 공사현장의 모습이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본래 현 담배인삼공사 앞에 있던 기숙사 건물을 개조해서 교육활동을 이어오다 1963년 공주농업고등학교가 지금의 전막으로 이전하면서 공실이된 오늘날의 금학동 자리로…
2006 계룡산 산신제 무형문화재 계룡산 추모, 기원 굿 (7)
현 신관동사무소가 막 준공되었을 당시의 동사무소 전경이다. 신관동 지역은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 때 장기면 신관리라 하였다. 1983년 장기면에서 공주읍으로 편입되었다가 1986년 공주읍의 공주시 승격에 따라 신관동이 되어 신관동사무소를 개설하였다.…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들의 연주 시작전의 준비하는 모습이다. 
제46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62년 유구국민학교의 복도 모습이다. 교실 문에는 각 반별로 팻말이 부착되어 있고, 복도 창가쪽으로는 신발장이 위치해 있다.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1책에 수록된 계룡산 일대에서 출토된 쇄모목완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