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39년 기증자의 형님이 정안공립심상소학교 전 학년을 마치고 수여받은 졸업증서이다.
1961.09.20, 다방 낭낭에서 진행한 제71회 음악감상회 실시 안내문이다. 감상곡으로 베토벤 교향곡 9번이어씅며, 식비로 300환이 징수되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비문이다. 제민천의 다리가 1817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함으로 인해 다시 축조하였고 그 과정에서 누구로부터 자금을 취렴하였는지, 또 언제 준공하였는지에 대해 적혀있다. 강신환, 심학근, 나원철, 윤학득, 김봉재, 김창복, 김증손,…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천왕문 편액에 관한 것이다.
1965년 2월 17일 계룡국민학교에서 제43회 졸업생 신갑승님에게 발행한 상장이다. 6년간 개근을 하였기에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93년 공주교육대학에서 주최한 '제4회 대전직할시, 충청남도 국민학교 미술실기대회'에서 귀산국민학교 6학년 노승란 학생이 특선으로 뽑혀 상을 받은 내용이다.
백제문화제 관련기사 대전일보(1955~1969, 1970~1979, 1980~1989, 1900~2000)(1973~1977년까지 충남일보로 개칭), 백제문화제 관련기사 중도일보(1955~1988)(1973~1987년까지 일시 폐간)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7주년 기념집 - 기억의 습작조 인터뷰(서정석)
1958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납세고지서이다. 전표에 의하면 발행연도 및 납세자의 성명, 리(里)가 적혀있고, 다음칸에 조세명인 '갑종제1종토지수득세'가 인쇄되어 있다. 이하로 납부해야할 대맥(大麥)을 기입하는 란이 있다. 계룡면 유평1리 진상옥 님에게 청구된…
1951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가불금 영수증이다. 문서 상단에는 일제강점기 이후임에도 인쇄된 소화(昭和)연호에 따라 연월일을 기재하였다. 표 안에는 감정과목(勘定科目)이 가장 상단에 적혀있고, 그 아래 좌측에는 금융조합의 조합원번호 및 조합원명, 중간칸에는…
1959년 공주고등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납입고지서로, 제4기분 납입금 일금 구천삼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고등학교장, 공주고등학교 사친회장, 공주고등학교 재건기성회장의 명의로 각각 영수하였으며, 수업료 일금 4천5백환, 사친회비 일금 1천5백환,…
1957년 공주영명고등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일금 2,200환을 납입한 것을 증빙하고 있다. 영수하는 비목은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3월분이라는 표기만 수기로 적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구서를 받는 학생의 학년과 반, 성명은 금액 상단에 적혀있다.
1952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납세고지서이다. 전표에 의하면 발행연도 및 납세자의 성명, 리(里)가 적혀있고, 다음칸에 조세명인 '갑종제1종토지수득세'가 인쇄되어 있다. 이하로 납부해야할 정조(定租) 및 대두를 기입할 란이 있다. 공란으로 남아 있지만 기한 내에…
일본고성동호회에서 한국 산성 견학을 가기 전 송재홍 선생에게 한국의 역사 강연을 부탁한다고 전해달라는 편지이다.
1971년 3월 19일 오후 3시에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제1회 공개강연회를 위하여 공주교육대학 박용진 교수가 만든 강의안을 토대로 공주문화원에서 만든 공문의 기안문이다. 표지 첫면 하단부에 결재표가 기재되어 있고, 기안자의 도장이 찍혀 있다. 이날에는 박용진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