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복합상소 관련 메모이다. 본 기록은 한말의 동학 지도자인 최시형의 처형 이후 그의 복권을 위하여 이루어진 교조신원운동 및 복합상소운동에 대한 내력을 일정별로 정리하였다.
일제강점기 현재의 공주사대부고 자리에 위치해있던 충청남도 도청 정문을 배경으로 제작된 사진그림엽서이다. 문루의 명칭이 '포정사'에서 '금남루(錦南樓)'로 개칭되었다. 이후 1928년 낙후되었다는 이유로 철거되었다. 금남루 옆 2층의 콘크리트 골조로 건축된…
2009 계룡산 산신제 계룡산 신령님 청배 및 충청도 천도 굿 사진첩
새마을지도자 충청남도협의회 회의자료
1959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정(定)기분 대지세(垈地稅) 영수증으로, 일금팔백오십육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날짜,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봉투 앞면에 모리노베 사토시(森延敏) 이름과 일본국 누마즈시가 적혀있다. 미발송 봉투로 추정한다.
1957년에 발급된 정안국민학교 졸업장이다. 정안초등학교는 1922년 5월 23일에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정안공립심상소학교와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정안초등학교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37년에 학생 수가 증가하여 문천간이학교가 개교하였는데, 1944년에…
공주공립고등여학교가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 부지로 이전했을 당시의 모습이다. 1933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하자 보상책으로 도청건물을 활용한 공주농업고등학교가 개교되었다. 이후, 실습지의 부족으로 당시 상반정(現 봉황동)에서 폐교된 도립사범학교 건물을 사용하던…
국립공주박물관 건물 사진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본 건물은 현재 충남역사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주문화원에서 1984년도 제1차 세입세출 추가경정예산안을 상정하고 심의 가부를 결정하기 위해 진행한 서면결의이다.
1956년 11월 이철하의 아들 이창하와 박상웅의 장녀 박숙현이 공주농업고등학교 강당에서 결혼한다는 내용이 담긴 청첩장이다. /…
국립공주박물관에서 2012년에 작성한 보고서다. 총 31쪽에서 17쪽만 존재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지역연계프로그램 추진으로 박물관 향유계층 확대
2013년도 주요업무 추진방향
관람객 중심의 내실 있는 박물관 조성
웅진백제문화 정체성 조명을 위한 조사,연구…
1910년대 금강의 나루터와 공산성 북문인 공북루 전경이다. 금강은 예로부터 각종 물산을 실어나르는 수운로로서 그 이용이 매우 활발해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한편 엽서 중앙에는 1915년 11월 4일 교토에서 열린 다이쇼(大正) 일왕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공주군 계룡면 향지리의 동향인들이 모여 1961년 조직한 성실친목계에서 보관하던 영수증이다. 산성동에 위치한 한양상가에서 모임을 위한 육류를 구입한 것을 증빙하였다. 2000년대 초반의 식대 물가를 알 수 있다.
기증자의 아버지인 서정수의 목면국민학교 졸업장이다. 졸업자의 성명과 출생년도가 기입되어 있다. 졸업자는 공주군 우성면에서 거주하며 생활권이 인접한 청양군 목면리의 학교를 다녔다. 목면공립국민학교는 청양군 목면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목면초등학교로 이어지고 있다.
연금액 조정에 관한 우편 (1)
1993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 주최한 제4회 시.군내 국민학교 학생음악경연대회에서 공주금학국민학교 학생들이 중창부문 은상을 받은 상장이다. 교명 하단에는 지도교사명도 기재되어 있다.
현 공주교육대학교의 전신인 공주여자사범학교의 모습이다. 1938년 일락산 자락에 세워졌다. 본 자료는 '사적의 공주'라는 시리즈 엽서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