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건륭 6년(1741, 영조17) 5월 11일, 이언세를 조산대부 行世子侍講院說書로 임명하는 교지
현 공주봉황초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상반소학교가 현 위치인 봉황동으로 이전했을 때의 모습이다. 상반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니던 학교로서 금학동의 현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공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 소학교 부지가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로 선정되면서 당시…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4H조 인터뷰(임연평)
백제문화제집행위원장 전준기가 김종의 외 76인에게 보내는 위촉장, 백제문화제를 백제문화재로 기재
국립공주박물관과 (재)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한 제3회 역사문화아카데미 과정을 수료하였음을 증명하는 증서이다. 역사문화아카데미는 지역민들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립공주박물관의 특별전시와 연계한 다양한 주제의 인문학 강좌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제3회…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곰나라조 작품소개표
1955년 공주영명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발행된 영수증서로, 수업료 일금 900환이 청구되었다. 영명고등학교 구좌에 납입완료하였다는 것을 공주금융조합에서 증빙하고 있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과 반, 번호, 이름은 가장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의 누마즈북로타리클럽에 보낸 공주로타리클럽 30주년 기념식 초대장 초안으로 한글판이다. 기간, 초청인원, 경비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연도미상의 대통사지부근도이다. 근처 주변물이 표시되어 있다.
1990학년도 우성초등학교 현황이 담긴 문서이다.
금영총록 복사본이다. 금영총록은 충청도의 도내 제반 현황을 파악한 자료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4년 7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영은암 산신각에 소장된 독성도에 관한 것이다.
제57회 백제문화제 홍보영상 한글 나레이션 텍스트
이인국민학교에서 발급한 졸업장이다. '국민학교 6개년 전과정을 마쳤기에 졸업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학생의 이름과 생년월일, 졸업장 발급 날짜, 당시 이인보통학교 교장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이인사립삼흥학교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1980년대 충청남도 농촌진흥청에서 발행한 생산증진을 장려하는 내용의 안내서이다. 생산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 상세히 적은 내용의 '농사삐라'를 정기적으로 발행하여 농업종사자에게 배부하였다. 90일간 참깨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며 농촌진흥 및 농가수준 개선을…
1962년 기증자의 부친이 장기면에 납부한 지방세 영수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