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68.01.15,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제18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당시 이사회에서는 문화원 운영 협의가 진행되었고, 신축청사와 관련된 소송 내용을 협의했다.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역사인들의 전성시대조 작품내용(답사의 발자취)
이것은 일본 각 행정구역명칭(도도부현)의 유래를 정리한 표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명부전 주련에 관한 것이다. 명부전의 주련은 지장경의 구절 중 하나이다.
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수조를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1965년 반포국민학교에서 6학년 1반 남신현 학생을 전교어린이회 회장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의 임명장이다.
1996년 공주시선거관리위원회에서 기증자를 선거관리위원회 위법선거운동 단속위원으로 위촉함을 증명하는 자료이다.
1990년 3월 1일 대전일보사, 대전직할시 육상경기연맹, 충청남도 육상경기연맹이 공동 주최한 3·1절 기념 제18회 대전직할시 충청남도 내 고교대항 역전 경주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6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새마을노래 악보
대한불교조계종 마곡사에서 공주·논산지회장에게 백범 김구선생 65주기 추모 행사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는 내용의 문서이다. 추모 다례제 식순과 행사내용 등이 적힌 안내문이 첨부되어있다.
제1쪽부터 제5쪽은 '무령왕과 백제문화' 원고이고, 제6쪽은 熊本典宏에게, 원고를 보낸다는 서신이며, 제7쪽은 무령왕교류실행위원회에서 보낸 서신, 제8쪽은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국제포럼을 계획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1992학년도 제2학기 출석수업 통보 및 1992학년도 제2학기 교육대학원 출석수업일정 및 시간표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으로, 현금 대신 소맥 2되 5합을 영수하였다는 내용이다. 단기 4284년 6월 28일 계룡국민학교 33회 졸업생인 진우섭님에게로 발행되었는데, 당시의 학년과 반이 기재되어 있다. 사친회의 회장과 이사의 직인도 찍혀있다.
이 문서는 1992년 2월 3일 `97 文化유산의 해-알고 찾고 가꾸자' 라는 칼럼을 위해 '공주지방의 문화유적을 다시본다'라는 주제로 쓴 초고검토본으로 추정된다. 윤여헌 교수가 직접 쓴 친필 복사본 위에 다시 친필메모가 쓰여져 있다. 글의 주요 내용으로는 1.남아있는…
충청남도교육청의 혁식담당관에서 계획한 이다. 이 문서의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용어 정의
2. 지식관리 추진 방향
2-1. 지식관리 비전·전략·목표
2-2. 지식관리 추진 과정
3. 지식관리 추진배경 및 목적
3-1. 추진배경
3-2.…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9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
1961.10.31, 다방 왕궁에서 진행한 제73회 음악감상회 안내장이다. 감상곡으로 가벼운 음악과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 연주되었다.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1953년 공주군 계룡면 유평리 이장이 발행한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이다. 고지서에 의하면 7월 10일까지 면사무소에 공주중고등학교 재건회비로 일금 사십환을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고지서 및 영수증 모두 우측에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과 납부비목을 기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