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의당면 수촌리에 위치한 음식점 인정식당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2004년 12월 공주시 사곡면 대중리 마을 상여의 모습이다.
2019년 공주 문화재야행 기간 중 시간이 정지된 공원에서 진행한 공주 무형문화재 의당집터다지기 공연 모습이다.
2018년 12월 10일부터 공주대학교 대학본부 1층 로비에서 시작된 제1회 2018 공주학자료공모전 전시회 '시민이 만든 공주의 옛 모습'에서 공주대학교 총장대행 박달원 총장대행이 월요일 회의를 마치고 관계자와 함께 전시를 관람하는 모습이다.
1971년 무령왕릉 연도를 최초 개방한 직후 연도 중앙에 위치한 지석과 석수의 모습이다.
굿당은 대체로 큰 바위 밑에 설치한다. 그 이유는 큰 바위에도 신기가 있어 산신령을 모시기에 적당하다고 일컬어지기 때문이다. 산신령과 호랑이는 같이 모시는데 호랑이를 산신으로 모시는 풍습에 연유한다.
1975년 공주금학국민학교에서 제2회 상설새마을교실을 개강하여, 안보와 가정의례 등을 교육하고, 잡곡혼식, 새마을운동, 멸공 등에 관한 영화를 시청하기도 하였다. 제2회 상설새마을교실의 수강생은 51명이었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체험 (5)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본관을 촬영한 것이다. 본관에는 '21세기를 주도하는 유능한 한국인 육성'이라고 적혀져 있으며, 앞의 입석에는 교훈이 쓰여져 있다.
1987년 3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 출신으로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사진을 취미로 하여 다양한 생활사 자료를 남긴 지인준 기증자의 사진이다.
사곡면 운암리에 위치한 귀빈식당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1999년 갑사의 부처님 오신 날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제53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1969년 유구국민학교의 정돈된 복도 모습이다.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충청남도 교육청 교육감인 강복환 교육감이 모교인 공주고등학교를 방문했을 당시를 촬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