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가 옮겨적은 한시의 해석본이다. 첫번째 쪽 말미에 기재된 '진주인 유당 정현보'를 보아 진주에서 활동하였던 근대 서예가인 정현보의 작품인 것으로 보이며, 열 수의 시가 기재된 것으로 미루어 보건대 십폭병풍의 본문을 옮겨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두번째와 세번째…
계룡국민학교재건기성회에서 단기 4292년에 발행한 기성회비 통지서와 영수증이다. 가운데 점선을 기준으로 우측은 통지서로, 납부금, 납부자의 성명과 납부기한, 납부처가 명시되어 있으며, 좌측의 영수증에는 납부 금액 일금 천삼백원과 영수하였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문호가 국민학교 6학년 재학 중 받은 개근상장이다.
충청남도교육회에서 추최한 현장교육 연구대회에서 3등을 차지하였음을 표창하는 상장이다.
보덕일지는 1955년 무릉동에 살았던 남궁화의 일지이다. 남궁화는 기증자 남궁운의 부친으로 일지명에 기록된 보덕은 그의 호(號)이다. 남궁화(南宮和, 1922∼1996)로 본명은 남궁향(南宮响)이며, 공주 무릉동(武陵洞)에서 태어나 자랐다. 22살에 옛 연기군 전의면에…
1971년 정안국민학교 제1학년 신기철학생이 1년 간 개근하였기에 이를 표창하며 상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1984년 11월 3일 대한적십자사 충청남도지사가 주최한 제13회 응급처치법경연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가 고등부남자 부문에서 우승하여 받은 상장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2년 7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고려 현종과 조선 인조대왕이 공주에 피난온 것을 기념하기 위해, 공주향토문화연구회가 주관하여 기념비를 제작하여 공주한옥마을에서 제막식을 가졌다.
문화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문화원에서 주최한 문화강좌에 참여한 인원 명단이다.
공주문화원 우편봉투
천주교 대전교구에서 1985년부터 1987년까지 실시한 '제1기 공소지도자 교육'을 수료한 계룡면 중장리 신자에게 발행한 수료증이다. 신자는 공주 중동본당의 중장공소 소속의 김영철 바오로 님으로, 수료증을 수여하며 교회발전을 위하여 봉사할 것을 당부받았다.
1969.06.10, 공주문화원 여성교양강좌 개최에 관한 초청장이다. 강좌는 서울 YMCA 김현자 선생이 초빙될 예정이며, 여성지도자의 역할과 사명이라는 주제를 강의한다.
1989년 7월 26일 충남향토사연구연합회의 학술발표회에서 김재붕이 '임존성'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했다. 이 문서는 발표한 내용에 대해 비판하는 문서를 배부한 박성흥에게 다시 반박하는 글이 담겨 있다.
1957년 공주영명고등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일금 500환을 납입한 것을 증빙하고 있다. 수업에서 사용된 악기 대금으로 금액을 영수하였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청구서를 받는 학생의 학년과 반, 성명은 금액 상단에 적혀있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사대부고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3년 12월분 월급봉투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