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주의 각종 유적지 모습을 촬영한 원본 필름이다.
2014년 유구읍 일대에서 개최된 금수만당 홍보 깃발.
일제강점기인 1940년대 제공자의 큰형이 재학했던 청양공립농업전수학교 졸업사진 중 하나로, 일제 말기 학생들에게 군사제식훈련을 가르치고 있는 모습이다.
1987년 3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6년 계룡국민학교 제54회 졸업생 유춘성 님이 소장하고 있던 사진으로, 동급생 이건웅님과 조봉식 담임선생님과 함께 계룡국민학교 정문에서 교명이 보이도록 촬영하였다. 가운데가 제공자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농업활동(132)
2006 계룡산 산신제 무가식산신제 감사패 전달 (2)
마곡국민학교 학생들이 새마을사업의 일환으로 꽃밭가꾸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꽃밭은 마곡국민학교의 자매부락인 가교2리 춤다리마을 내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선생님이 서 있고, 국민학교 학생들이 꽃밭을 매만지고 있다.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1책에 수록된 학봉리 제3 도요지에서 출토된 삼도수완이다.
1995년 귀산국민학교에서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우성면 귀산리에 있는 만경노씨 삼의사 생가지를 방문하여 참배하고 문화재 애호 봉사활동을 전개하였다.
제1회 공주학연구원 자료공모전의 시상식 진행사진이다. 수상자 12명을 대상으로 공주학연구원장님과 자료실장님의 시상이 진행되었다. 공주학연구원에서는 개인과 단체가 소장하고 있는 공주와 관련된 옛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하여 공주시의 옛 모습과 변화과정을 되돌아보고자하는…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학생들이 학교 체육대회 당시 운동장에서 축구를 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2008년 4월에 일본 관서지역의 지변학원 수학여행단이 공주를 방문한 모습을 촬영하였다. 지변학원은 1964년에 설립된 관서 지역의 명문사학이며, 설립자가 일본의 식민통치를 속죄하는 마음과, 일본 문화의 원류는 신라와 백제라는 것을 가르치기 위해 수학여행단을 한국에…
당시 공주문화원장이었던 이관용 원장의 사진이다.
1964년 공주사대 졸업생 중 일부가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영명학교 방향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사진의 배경에는 당시 영명학교 본관의 모습이 담겨있다.
계룡국민학교 제61회 졸업앨범에 실린 운동회 사진으로, 학교의 자랑인 고적대가 악기를 연주하며 운동장을 행진하고 있다.
제82회 전국체전성화채화식이 2001년 10월 계룡산 천황봉 정상에서 개최됐다. 본 사진은 선녀로 분장한 사람들이 성화 채화식에서 춤을 추는 장면이다.
1977년 공주금학국민학교 교무실에서 학교를 방문한 장학사들이 교직원과 담소를 나누는 모습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제34회 백제문화 콜로키움에서 강연 내용에 대해 청중이 발언하고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