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석장리 구석기 박물관 내부에 전시된 여러 국가의 석기 시대 유물들의 모습이다.
2013 백제문화학교 공공기관직원대상 현장답사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한 여름철의 인기로 수박인데 가장 큰 수박 1통에 1만원이다. 작은 것은 크기에 따라 1만원에 3통짜리도 있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9년 공주 문화재야행 제2차 월야장천 행사의 야경이다. 대통교에서 우체국 방향의 제민천 하류부근을 촬영한 모습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3년 계룡국민학교 학생들의 계룡면 자연보호활동 모습이다. 계룡면 봉명리 늘티고개 부근의 23번 국도 도로 옆 쓰레기들을 줍고 있는 모습이다.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 마곡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마곡사(충청남도 내 총본산)-소재지 공주군 사곡면'이라고 적혀있다. 대웅보전과 대광보전, 마곡사 다보탑의 모습이 산세를 따라 이어진다. 자료 좌측…
2018년 12월 10일부터 공주대학교 대학본부 1층 로비에서 시작된 제1회 2018 공주학자료공모전 전시회 '시민이 만든 공주의 옛 모습'에서 공주대학교 총장대행 박달원 총장대행이 월요일 회의를 마치고 관계자와 함께 전시를 관람하는 모습이다.
구 경찰서 놀이터 분수대 앞에서 기증자(왼쪽 첫 번째)와 누나들 그리고 조카들이 함께 사진을 찍었다.
1997년 공주고등학교에서 진행된 97학년도 학부모 총회 관련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교실에서 공주고등학교 학생들과 선생님이 서클 조직 및 운영 계획 토의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금성동에 위치한 청석골칡냉면갈비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영명학교 남학교 건물의 모습이다. 1921년 미국 북감리회 해외선교 100주년 기념으로 지어져 1921년에 완공되었고,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였다. 2002년 붕괴 우려로 철거되었다.
1962년 제 35회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공주고등학교의 복도 모습이다. 군부독재와 냉전시기를 반영하듯 복도 끝에 '간첩침략분쇄'라고 쓰인 액자가 걸려있다. 사진이 흐릿하여 복도 우측의 교실 용도는 확인하기 어렵다. 사진 우측 계단 옆 게시판에는 교내 홍보물이…
금성동에 위치한 청룡가든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날짜와 이름이 캡션으로 달려있는데 정확한 식별은 불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