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산성 공북루의 모습이다.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의 안내판이다.
동원리 석탑은 공주 신풍면 동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원래 5층탑이나 현재와 같이 3층 부분이 없어졌다. 현재 충남유형문화재 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원리 석탑은 공주 신풍면 동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원래 5층탑이나 현재와 같이 3층 부분이 없어졌다. 현재 충남유형문화재 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원리 석탑은 공주 신풍면 동원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원래 5층탑이나 현재와 같이 3층 부분이 없어졌다. 현재 충남유형문화재 49호로 지정되어 있다.
공주시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계룡면 중장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이다. 갑사 동쪽 계곡에서 조금 떨어진 동굴안에 남향으로 있다.
공주시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계룡면 중장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불이다. 갑사 동쪽 계곡에서 조금 떨어진 동굴안에 남향으로 있다.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에 있는 갑사 사적비이다.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에 있는 갑사 사적비이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귀부이다. 인조의 다섯째 아들인 숭선군신도비를 만들기 위해 만들었으나 비신을 만들지 못하여 현재까지 귀부만 남아 있는 것이다.
공주시 이인면 오룡리에 있는 귀부이다. 인조의 다섯째 아들인 숭선군신도비를 만들기 위해 만들었으나 비신을 만들지 못하여 현재까지 귀부만 남아 있는 것이다.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범종의 모습이다.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범종의 모습이다.
공주 향교 대성전의 모습이다.
공주 향교 원경이다.
신원사 대웅전의 전경이다. 신원사는 계룡면 양화리에 있는 마곡사의 말사로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신원사 대웅전의 전경이다. 신원사는 계룡면 양화리에 있는 마곡사의 말사로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공주시 중동 공주박물관에 있는 분청 귀장식 항아리이다. 서울 성동구 거여동에 있었던 덕천군 이후생의 묘를 공주시 의당면 대산리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분청사기이다. 총 2점이 발견되었다.
공주시 중동 공주박물관에 있는 분청 귀장식 항아리이다. 서울 성동구 거여동에 있었던 덕천군 이후생의 묘를 공주시 의당면 대산리로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분청사기이다. 총 3점이 발견되었다.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연평부원군 이귀의 신도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