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부여군수가 백제문화제 행사에 따른 관계자 회의 개최를 알리는 공문
1995년 보병제32사단에서 주최한 제47주년 국군의 날 기념 '1995년 호국문예 창작대회'에서 유구국민학교가 군가합창경연부문에서 장려상을 수여받은 내용의 상장이다.
1963.03.29, 공주문화원 주최로 문화원 내 전시실에서 진행된 제93회 음악감상회 안내문이다. 감상곡은 베토벤이 작곡한 '전원교향곡'이었으며, 참가 회비로 20원이 징수되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메모이다. 일본의 한국어 학당과 한국어 일본어교실간 교류회를 위한 쓴 인사말의 초안문으로 추정된다.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신탄비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탄비는 땔나무와 숯의 구입에 지출되는 일종의 연료비용으로 일금 일만삼천원을 영수하였다.…
이철원이 가선대부 돈녕부 돈녕직에 임명될 때 법전에 따라 부인 숙부인 오씨를 정부인으로 증직하는 교지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노트로, , 에 대한 글이 담겨 있다. 여러가지 도서를 참고해 연구한 연구서로 추정되는데, 중간중간 기재사항 없이 비어있다. 참고도서 역시 일본 원서이며, 일반상용 노트를 이용하였다.
1999~2000년 6월까지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 Soft의 전시회 방명록이다.
마곡사의 중심 법당으로는 석가불과 약사불, 아미타불이 모셔진 대웅보전과 비로자나불이 모셔진 대광보전이 존재한다. 대광보전 마당에는 라마교 양식의 풍마동이 올려진 5층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 때보다 탑의 위치가 희지천 쪽으로 남진했음을 알 수 있다.
2002년 5월 21일에서 23일까지 공주대학교 연구관 강당에서 진행한 백제문화재의 세계문화유산추진을 위한 국제학술심포지움 안내 초청장을 복사한 문서다. 날짜, 일시, 장소, 프로그램 소개가 적혀있다.
1993학년도 교육대학원 입학시험문제 출제의뢰
제57회 백제문화제 홍보영상 일어 나레이션 텍스트
충청남도 새마을회 임원(제13차 이사회 참석대상) 명부
1942년에 발급된 정안공립국민학교 졸업증서이다. 일제강점기에 발급된 증서로 창씨개명된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본교 수업연학 6개년 전 교과를 졸업하였음을 증명한다'는 내용이다. 정안초등학교는 1922년 5월 23일에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공주문화원 주관으로 1962.05.18 문화원 내 전 교육구청 관사에서 진행된 공주 관내 각 급 학교장 단체 모임 안내장이다. 자료 좌측면으로 참가신청서 양식이 인쇄되었다.
충청남도 새마을지도자 표창대상자 명단
일제강점기 조치원에서 공주를 오가는 길목에 위치한 나루터로, 조선시대부터 전라도에서 한양가는 삼남대로 길목에 있는 장기대나루 북단이다. 장기대나루는 옥룡동에서 금강을 건너 시목동(감나무골)로 연결되었던 나루로 장기진(杖基津)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죄인의 목을 장대에…
이문호의 부친 '이중용'의 초상 시 작성된 부의록과 조객록 일체이다. 첫 장에 ‘을유 9년 10일’과 ‘조객록’이라고 적혀있다. 본문을 보면 1~3쪽은 부의록,4쪽은 공란. 5~8쪽은 조객록, 9~10쪽은 부의록으로 구성되어있다. 상단에는 부의객의 이름, 그 아래에…
‘광무6년 9월’, 즉 1902년 9월 25일 시종원 시어(侍從院 侍御) 정홍식을 정3품 통정대부로 가자한다는 내용의 칙명이다. 이 칙명은 정홍식이 기로소에 들어가니, 그 때 조관으로서의 나이가 51세가 넘어 그것을 축하하고자 왕께서 가자를 내린 것이며, 그 내용이…
공주시 관광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