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1년 11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날짜와 이름을…
계룡국민학교에서 교과서대금으로 일금 일백환을 청구한 영수증이다. 계룡국민학교 39회 졸업생인 진무섭님에게 6학년 1학기 교과서 대금료로서 단기 4293년 3월 5일에 발행하였으며, 상세한 교과명도 기재되어 있다.
1979년 유구우체국에서 발행한 당해년도 4월분 우편배달부의 월급명세서이다. 당시 노란 갱지 봉투에 월급을 담고, 월급의 상세 내용을 수기로 기재한 명세서를 봉투 앞에 호치키스로 찍어 지급했다고 한다.
제27회 충청남도학생체육대회에 대비하여 공주시에서 초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육상대회에서 반포초등학교 6학년 임은우 학생이 6학년부 200m 1위를 기록하여 받은 상장이다.
92학년도 제2학기 기말고사 실시에 따른 희망과목조사
일본 사가현 가라츠시 가카라시마에서 열린 제16회 백제무령왕탄신제의 일정표이다. 2017년 6월 3일 열렸으며, 가카라시마 섬만들기사업실행위원회가 주최하고, 마쓰로 백제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가 공최하였다. 탄신제는 가카라시마 항구 앞 탄신기념비앞에서 열렸으며, 가라츠시…
2002년 9월 1일자로 "충청남도교육청 교육국 초등교육과 근무"에 대한 발령통지서이다.
공주문화원 우편 봉투이다. 이경란전 전시회 날짜가 적혀있다. 발신인은 인쇄되어있고 수신인은 적혀있지않다.
제2건국 추진과제(공주시)'의 과제들을 중앙기획 추진과제 / 충남도 기획과제 / 개혁과제 / 부서별 추진과제로 나누어 제1쪽에서 적어두고 있으며, 제2쪽은 '제2건국'의 의미 및 추진배경이 적혀있다. 배경에서 윤 교수는 'IMF관리라는 국난사태는 우리 사회 전반의…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모임 안내 문서이다. 일시, 장소, 위치, 약도가 적혀있다.
1978년 공주군교육청이 주최한 '77년도 과학 실험관찰 기능 경시대회'에서 유구국민학교가 4위를 차지하여 이를 표창하는 내용의 상장이다.
이케노보 야스코 관련 간담회 질의 사항이다. 1.공주와 일본과의 교류현황 소개 2.백제시대의 공주 소개와 질의 사항(예), 부탁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사항은 1.공주방문에 대한 개인적 소감 2.일본의 여성 정치인으로서의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정치활동을 하고…
무령왕 탄생 기념비 건립 계획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적은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기념비 비문의 문제
2. 기념비의 부속문 초안
3. 기념비의 외양
4. 탄생기념 조형물
5. 역사개요 및 한일 참여자 명단석
6. 정리
7. 결론
1957년 공주중학교 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4,5,6월 간 3개월분의 사친회 월회비 일금 삼천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내용이다. 공주중학교사친회장 명의로 영수하였으며 영수받는 학생의 학년, 반, 번호 및 성명이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기가…
1993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는 '제21회 충청남도 소년체육대회'에 참가할 선수를 뽑기위한 선발전을 개최하였는데, 귀산국민학교 박선화 학생이 선발전에서 여국포환던지기 부문 2위를 기록하여 상장을 받은 내용이다. 학생 성명 하단에는 지도교사의 성명과 학생이 기록한…
1984년 정안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서 배포한 유치원 요람이다.
일본 도쿄의 미야모토 요시타(宮本嘉太)가 윤여헌 교수에게 보낸 서신이다. 미야모토 요시타(宮本嘉太)는 일제강점기 공주면 본정에서 자동차 운수업을 하면서 충청남도평의회 의원을 지내던 미야모토 젠키치(宮本善吉, 1887~?)의 친척이다. 미야모토 젠키치는 1921년…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개헌절차에 대한 메모를 복사해 놓은 것이다. 우리 헌법의 개헌절차는 제안 - 공고 - 국회의 의결 - 국민투표 - 공포로 진행된다고 기재하였다. 본 메모지 상단에 헌법개정 한계설에 대한 내용이 기재된 자료를 오려서 붙여 놓았다.
1960년대 말~7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마곡사 관광기념 엽서 시리즈 중 마곡사 앞 계곡의 절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