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일한 우호의 역사' 개요 원고이다. 왼쪽 위에 수정판이라고 적혀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기허대화상영규진영에 대한 것이다.
윤여헌이 작성한 기고문이다. 이공은 공주에 충청도관찰사로 재직하였던 이익보이다. 이공사적비의 원래 위치, 비석에 적힌 기록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계룡국민학교에서 35회 졸업생인 진경희님에게 단기 4285년 6월 24일에 발행한 영수증이다. 이천원을 청구한 것으로 보이며, 월분 및 종별을 기입하는 곳을 기재하지 않아 금액을 청구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 담임성명 대신 도장을 찍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쓴 메모로, 프로이트의 '의식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의식구성요소로는 원초아, 자아, 초자아가 있으며, 원초아는 본능, 자아는 현실, 초자아는 사회의 영향을 받는 의식영역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공주군 재건청년 교육원에서 주최한 교육에 계룡면 중장리 주민이 참석하여 청년회 간부 교육과정을 수료하여 배부한 수료증이다. 수료증에는 참석자의 소속과 성명, 생년월일 등이 기재되어 있다. 자료제공자에 의하면, 박정희 정권 당시 마을의 이장직들을 모아 훈련하였는데, 당시…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1914~1919년경 공주시가도
1933년 공주군 사곡면서기로 신임발령난 당사자의 임명장이다. 사곡면서기로 임명하는 내용과 함께 급여액도 기재되어 있다.
계룡국민학교에서 발행한 사친회비 영수증으로, 현금 대신 소맥 2되 5합을 영수하였다는 내용이다. 단기 4284년 6월 28일 계룡국민학교 33회 졸업생인 진우섭님에게로 발행되었는데, 당시의 학년/반이 기재되어 있다. 사친회의 회장과 이사의 직인도 찍혀있다.
1981.11.30,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한 사원총회 의사록이다. 당시 이사진 임기 만료에 따른 신임 이사 선출이 진행되었다.
공주소식지 1989년 2월호에 실린 윤여헌의 용산구곡 교정본이다. 검정펜으로 교정이 되어있다.
1956년 농지개혁사업특별회에서 발행한 상환통지서이다. 통지서에 의하면 농지개혁법 제13조 및 시행령 35조에 의해 단기 4289년 7월 31일까지 금융조합에 농지대가개정 상환액을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1958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全)기분 군경원호비 납세고지서이다. 일금 삼백원을 3월 31일까지 면사무소에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전표 상단에 '납세고지서'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1956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군사원호회비 영수증으로, 일금 사백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연도미상의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우석(愚石) 김기창(金基昌), 화당(和堂) 김재배(金栽培)에 관한 원고이다. 각각의 연혁을 담고 있으며, 제목 옆에는 '향토출신근대서화가'라는 윤교수님의 자필메모가 쓰여져있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명부전에 소장된 정토종 포교당 시왕도-제7태산대왕에 관한 것이다.
1963.09.27에 진행될 공주문화원 공개강좌 개최를 알리는 문서이다. 미 공보원 서울지부장 아서 맥타가트가 연사로 나설 예정이다.
1962.02.22, 다방 낭낭에서 진행한 제80회 음악감상회 안내문이다. 당시 감상곡으로 드뷔시의 '바다'라는 곡이 연주되었다. 또한 본 감상회에 참여하기 위해선 회비 200환을 납부해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