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0년 천황봉 해맞이 중 촬영한 산제단 비석의 모습이다. 계룡산 천황봉에 있는 산제단 비석을 1941년 천진교 교주인 김덕경이 설립한 것으로 조선시대에는 이곳에서 국왕이 진행하는 제례가 행해졌다고 전해진다.
1977년 여름, 공주금학국민학교 수상자들이 운동장에 모여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탄천중학교 운동회 중 가장행렬 사진이다. 탄천중학교는 1953년 4월 18일에 설립 인가를 받고 같은 해 6월 20일에 개교하였다. 2004년에 탄천초등학교와 통합하여 탄천초중학교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86년 공주문화원에서 새해를 맞이하여 진행한 신년교례회 모습이다. 이관용 문화원장이 행사에 참여한 어린이에게 세뱃돈을 지급하는 모습이다.
고마나루 부근의 강변조성을 위해 멀리 포크레인이 작업하는 모습이 보인다. 한사람이 다닐 법한 샛길을 통해 통행이 가능하다.
2000년대 초반 눈 덮인 계룡산 계곡의 모습이다.
1992년 귀산국민학교 교내 건물 뒤편의 운동장에 모래를 깔아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되어 단정하게 정리된 모습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 텐구다니가마터유적이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조선시대 도공들과 이삼평이 자기를 구워왔던 가마터이다. 현재 계단시 가마터로 재현해 놓은 모습이다.
2008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가요제 (25)
공주보가 건설되고 있는 현장을 상공 및 원경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1965년 제43회 계룡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가을운동회 사진으로, 계룡국민학교 교기를 들고 선수들이 위풍당당하게 운동장을 행진하고 있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수업 사진이다. 교사가 교단에서 슬라이드를 가리키며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팀으로 나누어 앉아 교사의 이야기를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이 사진은 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소중학교 학생들이 공주로부터 받은 한일교류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장면이다. 우편으로 받은 한일교류선물은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박성과정의 김조연 대학원생이 중심이 되어 주변의 지인들이 동참하였으며, 공주관련 기념품과 금강뉴스에서 발행한…
1984년 공주금학국민학교 병설유치원 원아들과 선생님의 금강 변 모래사장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아메미야 히로스케씨가 소장유물을 기증할 뜻을 밝히면서 공주향토문화 연구회 윤여헌 회장에게 유물을 설명하고 있다.
2010년 세계대백제전 기간에 알밤줍기체험 프로그램에 준비된 관광버스의 모습이다.
계룡산 아래 제석봉 일월암에서 진행하는 굿 장면이다. 굿을 주도하는 보살이 뛰기도 하다 빙글빙글 돌기도 하면서 춤을 춘다.
마곡국민학교 학생들이 자매부락인 가교2리 춤다리마을에서 마을미화작업에 힘쓰고 있다. 학생들이 부락 내의 거리를 정돈하고 있다.
2010년 56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