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77년 제23회 백제문화제 당시 봉황산에서 진행된 성화채화의 모습이다. 백제문화제가 열릴때마다 채화단에서 백제혼불 채화를 진행하는데, 불은 화경(볼록렌즈)를 통해 태양빛을 통과시켜 불을 받아 채화봉(홰)에 점화한다. 채화장소는 처음엔…
갑사에 위치한 부도의 문양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사범학교 재학시절 교사 및 친구들과 금강교 아래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가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공주고등학교 야구부는 199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사진 속 지점은 중동 작은사거리 부근이다.
1988년 8월 5일에 공주시체육회 정기총회 진행모습이다. 이근영 공주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1988년 계룡국민학교 운동장에서 열린 가을운동회 모습이다. 엄마와 함께 달리기 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학생들이 줄을 서있다.
2013년 백제문화학교 체험프로그램 활동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계룡국민학교 제53회 졸업앨범에 실린 6학년 3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여학생들이 본관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07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대전대 재즈댄스팀 (16)
제23회 백제문화제 사진이다. 떨리는 마음으로 대본을 보며 추모제 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여학생들의 모습이다.
소행성을 최초 발견한 아마추어 천문학자 사토 나오토씨가 무령왕축제 중 무령왕별 명명식에서 무령왕별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이다.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10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옛 앵산공원에 있던 팔각정 전경이다. 팔각정이 있던 앵산공원은 1911년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 근대공원으로 공주에서 가장 오래된 공원이다. 일제강점기에 공주대신궁과 초혼사가 있었으며, 공주사람들의…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시 사곡면 대중리 한시랑이 마을의 전경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벼생육 중기 평가회(2)
어디가 이 산성의 가장 높은 곳일까. 나무의 그늘만이 가득했다. 그러다가 발견한 빛이 비추는 곳, 그곳은 하늘을 가릴 나무가 더는 없다는 뜻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