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16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기관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금강 배다리 전경

제목| 금강 배다리 전경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금강철교 가설 이전에 사용되던 배다리와 강건너의 풍경이 잘 드러난다.

등록번호|200043248

생산일자|1920~30년 대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1940년대 말의 공주시 전경

제목| 1940년대 말의 공주시 전경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하단에는 도립공주의원(현 공주의료원)이며 좌측 가운데 부분은 공주금융조합으로 1940년대 말 중동 구가지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200043247

생산일자|1940년 대 말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공주시가지 전경

제목| 공주시가지 전경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시가지를 품고 있는 봉황산을 배경으로 좌측에는 공주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의 모습이 보이며 중동 구 시가지의 모습이 촬영되었다.

등록번호|200043246

생산일자|1920년 대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충남도청 앞 거리

제목| 충남도청 앞 거리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1920년 대 말 충남도청 앞 거리를 촬영한 것으로 도청 뒤편으로 봉황산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3245

생산일자|1920년 대 말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충남도청 정문인 금남루

제목| 충남도청 정문인 금남루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1920~30년대 충남도청 정문으로 사용된 금남루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43244

생산일자|1920년 대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일명 협산자교회

제목| 일명 협산자교회

범위와내용|1930년에 초가에서 양옥으로 건립한 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우산을 쓴 신사가 선교를 위해 헌금한 사연을 따와 공주읍교회 예배당의 이름을 '협산자예배당'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등록번호|20004323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제일교회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공주제일감리교회

제목| 공주제일감리교회

범위와내용|1903년 공주에 세워진 최초의 교회인 공주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1903년 맥길 선교사가 이용주 전도사와 함께 공주읍 내 하리동에 초가집 두 채를 구입하여 공주 최초의 공주읍교회를 세웠다고 한다.

등록번호|20004323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제일교회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제목|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범위와내용|1895년 정부에서 선포한 우체사관제를 통해 공주우체사 설치가 공포된 후 1896.02.16 오늘날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뒷편에서 개설한 최초의 공주우체국의 모습이다. 이후 1913년 12월 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본 자료 속 모습으로 우체국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207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1911년 조선철도선로안내_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제목| 1911년 조선철도선로안내_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공산성 공북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공상성의 북쪽 성곽과 공북루에 월파당이 존재하는 모습까지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성안마을의 초가집이 공북루 내외를 막론하고 조성된 것도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575

생산일자|1911.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마곡사 다보탑 앞에서

제목| 마곡사 다보탑 앞에서

범위와내용|공주 마곡사에서 촬영한 현지조사 카드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소장한 현지조사 카드 중 하나로 카드 상단에 공주 마곡사라고 적혀있다. 사진 속 세 인물 중 가장 오른쪽이 송석하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300162800000

등록번호|200055037

생산일자|1944.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제목|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범위와내용|실습복을 입은 학생 2명이 잠업실습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사진의 오른쪽에는 양복을 차려입은 인물이 합성되어 있다. 사진은 두꺼운 종이판 중앙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진보호지와 둥근 문양이 인쇄된 겉표지로 덮을 수 있다. 종이판 오른쪽 하단에 '공주사진관', '조선공주'가 적혀있다. /…

등록번호|200055036

생산일자|192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반죽동 당간지주

제목| 반죽동 당간지주

범위와내용|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뒷면에 '公州ソツテ'라 쓰여있다. /…

등록번호|20005503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율당 서덕순 모친 장례식

제목| 율당 서덕순 모친 장례식

범위와내용|1944년 7월 30일 사망한 율당의 모친 조종한 여사 장례 행렬 중에 잠시 교대부속초등학교 뒤쪽 연도변에서 문상을 받고 있는 상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284

생산일자|1944.07.3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범위와내용|1930년대 공주지방법원의 정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지방법원'이라 쓰여 있는 현판과 주변의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아 봄에 촬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법원은 1938년까지 '공주지방법원'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므로, 늦어도 1938년 이전에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5263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1932년 봄 벚꽃 핀 공주지방법원 전경 사진

제목| 1932년 봄 벚꽃 핀 공주지방법원 전경 사진

범위와내용|1932년 3월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의 모습을 봉황산 자락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 멀리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일대의 만개한 벚꽃 풍경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262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1938년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출정기념 단체사진

제목| 1938년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출정기념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38년 5월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일동이 일본의 출병을 기념하는 행사를 진행한 후 본청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5261

생산일자|1938.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범위와내용|1920년대 공주지방법원 재판소로 가는 길목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52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제목|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제목|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6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16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기관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금강 배다리 전경

금강 배다리 전경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금강철교 가설 이전에 사용되던 배다리와 강건너의 풍경이 잘 드러난다.
1940년대 말의 공주시 전경

1940년대 말의 공주시 전경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하단에는 도립공주의원(현 공주의료원)이며 좌측 가운데 부분은 공주금융조합으로 1940년대 말 중동 구가지의 모습을 알 수 있다.
공주시가지 전경

공주시가지 전경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시가지를 품고 있는 봉황산을 배경으로 좌측에는 공주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의 모습이 보이며 중동 구 시가지의 모습이 촬영되었다.
충남도청 앞 거리

충남도청 앞 거리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1920년 대 말 충남도청 앞 거리를 촬영한 것으로 도청 뒤편으로 봉황산이 보인다.
충남도청 정문인 금남루

충남도청 정문인 금남루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1920~30년대 충남도청 정문으로 사용된 금남루를 촬영하였다.
일명 협산자교회

일명 협산자교회

1930년에 초가에서 양옥으로 건립한 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우산을 쓴 신사가 선교를 위해 헌금한 사연을 따와 공주읍교회 예배당의 이름을 '협산자예배당'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공주제일감리교회

공주제일감리교회

1903년 공주에 세워진 최초의 교회인 공주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1903년 맥길 선교사가 이용주 전도사와 함께 공주읍 내 하리동에 초가집 두 채를 구입하여 공주 최초의 공주읍교회를 세웠다고 한다.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1895년 정부에서 선포한 우체사관제를 통해 공주우체사 설치가 공포된 후 1896.02.16 오늘날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뒷편에서 개설한 최초의 공주우체국의 모습이다. 이후 1913년 12월 지금의 공주우체국…
1911년 조선철도선로안내_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1911년 조선철도선로안내_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공산성 공북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공상성의 북쪽 성곽과 공북루에 월파당이 존재하는 모습까지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성안마을의 초가집이 공북루 내외를 막론하고 조성된 것도 볼…
마곡사 다보탑 앞에서

마곡사 다보탑 앞에서

공주 마곡사에서 촬영한 현지조사 카드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소장한 현지조사 카드 중 하나로 카드 상단에 공주 마곡사라고 적혀있다. 사진 속 세 인물 중 가장 오른쪽이 송석하이다. /…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실습복을 입은 학생 2명이 잠업실습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사진의 오른쪽에는 양복을 차려입은 인물이 합성되어 있다. 사진은 두꺼운 종이판 중앙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진보호지와 둥근 문양이 인쇄된 겉표지로 덮을 수 있다. 종이판 오른쪽…
반죽동 당간지주

반죽동 당간지주

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율당 서덕순 모친 장례식

율당 서덕순 모친 장례식

1944년 7월 30일 사망한 율당의 모친 조종한 여사 장례 행렬 중에 잠시 교대부속초등학교 뒤쪽 연도변에서 문상을 받고 있는 상주의 모습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1930년대 공주지방법원의 정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지방법원'이라 쓰여 있는 현판과 주변의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아 봄에 촬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법원은 1938년까지 '공주지방법원'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므로, 늦어도…
1932년 봄 벚꽃 핀 공주지방법원 전경 사진

1932년 봄 벚꽃 핀 공주지방법원 전경 사진

1932년 3월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의 모습을 봉황산 자락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 멀리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일대의 만개한 벚꽃 풍경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1938년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출정기념 단체사진

1938년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출정기념 단체사진

1938년 5월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일동이 일본의 출병을 기념하는 행사를 진행한 후 본청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1920년대 공주지방법원 재판소로 가는 길목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촬영한 사진이다.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16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기관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16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기관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16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형태분류  사진류
  • 출처분류  기관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제목| 금강 배다리 전경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금강철교 가설 이전에 사용되던 배다리와 강건너의 풍경이 잘 드러난다.

등록번호|200043248

생산일자|1920~30년 대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40년대 말의 공주시 전경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하단에는 도립공주의원(현 공주의료원)이며 좌측 가운데 부분은 공주금융조합으로 1940년대 말 중동 구가지의 모습을 알 수 있다.

등록번호|200043247

생산일자|1940년 대 말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공주시가지 전경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시가지를 품고 있는 봉황산을 배경으로 좌측에는 공주고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고등보통학교의 모습이 보이며 중동 구 시가지의 모습이 촬영되었다.

등록번호|200043246

생산일자|1920년 대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충남도청 앞 거리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1920년 대 말 충남도청 앞 거리를 촬영한 것으로 도청 뒤편으로 봉황산이 보인다.

등록번호|200043245

생산일자|1920년 대 말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충남도청 정문인 금남루

범위와내용|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공주시가지 모습이다. 1920~30년대 충남도청 정문으로 사용된 금남루를 촬영하였다.

등록번호|200043244

생산일자|1920년 대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일명 협산자교회

범위와내용|1930년에 초가에서 양옥으로 건립한 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우산을 쓴 신사가 선교를 위해 헌금한 사연을 따와 공주읍교회 예배당의 이름을 '협산자예배당'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등록번호|200043234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제일교회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공주제일감리교회

범위와내용|1903년 공주에 세워진 최초의 교회인 공주제일감리교회의 모습이다. 1903년 맥길 선교사가 이용주 전도사와 함께 공주읍 내 하리동에 초가집 두 채를 구입하여 공주 최초의 공주읍교회를 세웠다고 한다.

등록번호|200043233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제일교회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03년 공주우편국 청사(일부)

범위와내용|1895년 정부에서 선포한 우체사관제를 통해 공주우체사 설치가 공포된 후 1896.02.16 오늘날 중동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 차부 뒷편에서 개설한 최초의 공주우체국의 모습이다. 이후 1913년 12월 지금의 공주우체국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본 자료 속 모습으로 우체국이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7207

생산일자|미상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11년 조선철도선로안내_공북루에서 바라본 금강의 모습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발행한에 수록된 공산성 공북루에서 금강을 바라본 모습이다. 공상성의 북쪽 성곽과 공북루에 월파당이 존재하는 모습까지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성안마을의 초가집이 공북루 내외를 막론하고 조성된 것도 볼 수 있다.

등록번호|200057575

생산일자|1911.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마곡사 다보탑 앞에서

범위와내용|공주 마곡사에서 촬영한 현지조사 카드이다.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소장한 현지조사 카드 중 하나로 카드 상단에 공주 마곡사라고 적혀있다. 사진 속 세 인물 중 가장 오른쪽이 송석하이다. / http://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300162800000

등록번호|200055037

생산일자|1944.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범위와내용|실습복을 입은 학생 2명이 잠업실습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사진의 오른쪽에는 양복을 차려입은 인물이 합성되어 있다. 사진은 두꺼운 종이판 중앙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진보호지와 둥근 문양이 인쇄된 겉표지로 덮을 수 있다. 종이판 오른쪽 하단에 '공주사진관', '조선공주'가 적혀있다. /…

등록번호|200055036

생산일자|192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잠업실습 모습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반죽동 당간지주

범위와내용|반죽동에서 당간지주를 촬영한 흑백사진이다. 본 자료는 석남 송석하(1904~1948)가 수집한 사진으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 오른쪽 하단의 인물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라는 인물이며, 뒷면에 '公州ソツテ'라 쓰여있다. /…

등록번호|200055035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대통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율당 서덕순 모친 장례식

범위와내용|1944년 7월 30일 사망한 율당의 모친 조종한 여사 장례 행렬 중에 잠시 교대부속초등학교 뒤쪽 연도변에서 문상을 받고 있는 상주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5284

생산일자|1944.07.3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총론(혼합)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범위와내용|1930년대 공주지방법원의 정문을 촬영한 것이다. '공주지방법원'이라 쓰여 있는 현판과 주변의 벚꽃이 만개한 모습을 보아 봄에 촬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주법원은 1938년까지 '공주지방법원'이란 명칭을 사용하였으므로, 늦어도 1938년 이전에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200055263

생산일자|193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정문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32년 봄 벚꽃 핀 공주지방법원 전경 사진

범위와내용|1932년 3월 벚꽃이 만개한 공주지방법원의 모습을 봉황산 자락에서 내려다본 모습이다. 멀리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일대의 만개한 벚꽃 풍경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200055262

생산일자|1932.03.25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38년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출정기념 단체사진

범위와내용|1938년 5월 공주지방법원 관계자 일동이 일본의 출병을 기념하는 행사를 진행한 후 본청 앞에서 촬영한 단체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5261

생산일자|1938.05.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범위와내용|1920년대 공주지방법원 재판소로 가는 길목에 만개한 벚꽃의 풍경을 촬영한 사진이다.

등록번호|200055260

생산일자|1920.00.00

형태|사진류>필름사진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지방법원 일원의 벚꽃 풍경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필름사진

제목| 1910년대 중반 공산성 전경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공주 공산성 전경의 모습이다. 본 사진은 금강 북단의 현재 미르섬 부근에서 공산성의 북문 공북루 방면을 바라본 것이다. 당시 공산성 내 수목이 가꿔지지 않은 민둥산의 형태를 띤 것이 시대의 특성을 보여준다.

등록번호|200053558

생산일자|1916.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중반 신원사 5층석탑

범위와내용|1916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의 신원사 5층석탑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7

생산일자|1916.03.31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신원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

제목| 1910년대 후반 마곡사 5층석탑의 석조형상

범위와내용|1918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고적도보 제6집 중 마곡사 5층석탑 하부의 석조형상의 모습이다.

등록번호|200053556

생산일자|1918.03.00

형태|사진류>사진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기관
  • 사진류
  • 일제강점기
  • 사진류>사진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