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검색하기 일반검색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89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1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1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1911년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 반죽리(班竹里)에서 홋카이도(北海島)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0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 문서류>서신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제목|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도로망도 전통적인 형식을 갖춘 모습이다. 따라서 본 자료는 포정사와 그 앞의 대로변이 일제에 의해 변화하기 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명국삼장비 엽서

제목|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930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제목|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민가 철거 이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1914년 조선농회 물산품평회 사진그림엽서

제목| 1914년 조선농회 물산품평회 사진그림엽서

범위와내용|1914년 조선농회에서 주최한 물산품평회의 충남지회 전시장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전면에는 당시 행사를 기념하는 기념소인이 찍혀있다. 또한 후면에는 당대의 인물이 공주우편국에서 서신을 보낸 점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296

생산일자|1914.11.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287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동일한 자료이다.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본 자료는 500007387과 동일한 원판을…

등록번호|50000928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928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이 보인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사라지고,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31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28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경성세무감독국장 표창

제목| 경성세무감독국장 표창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사곡면 서기로 근무하던 인물이 경성세무국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표창장의 내용은 비상시국 즉 전시상황임에도 훌륭한 세무성과를 올렸다는 것이 담겨있다.

등록번호|500008756

생산일자|1940.11.0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사곡면 서기로 근무하던 인물이 경성세무국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표창장의 내용은 비상시국 즉 전시상황임에도 훌륭한 세무성과를 올렸다는 것이 담겨있다.
  • 문서류>일반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상설점포를 비롯해 노점상까지 생생한 공주의 시장풍경 엽서이다. 자료 앞쪽 쌀을 판매하는 싸전에서 짚신을 걸어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공주에서는 충청감영으로 약령시가 매우 성행하여 충청도 각지에서 올라온 약재상으로 붐볐던 곳이다. 지금의 봉황초등학교 부근에서 약령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시장이 약화되자 김갑순의…

등록번호|50000889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상설점포를 비롯해 노점상까지 생생한 공주의 시장풍경 엽서이다. 자료 앞쪽 쌀을 판매하는 싸전에서 짚신을 걸어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공주에서는 충청감영으로 약령시가 매우 성행하여 충청도 각지에서 올라온 약재상으로 붐볐던 곳이다. 지금의 봉황초등학교 부근에서 약령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시장이 약화되자 김갑순의 투자로 지금의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에 상설시장이 형성되었고 점차 북쪽으로
  • 문서류>서신
1936년 유구금융조합 거치예금통장

제목| 1936년 유구금융조합 거치예금통장

범위와내용|1936년 유구금융조합의 거치예금통장이다. 예금의 입출금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통장의 전면에 삽입된 삽화가 오늘날 통장과 다른 디자인을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8903

생산일자|1936.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문서류>문서 기타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89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1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1

조선총독부에서 1911년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 반죽리(班竹里)에서 홋카이도(北海島)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명국삼장비 엽서

명국삼장비 엽서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1914년 조선농회 물산품평회 사진그림엽서

1914년 조선농회 물산품평회 사진그림엽서

1914년 조선농회에서 주최한 물산품평회의 충남지회 전시장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전면에는 당시 행사를 기념하는 기념소인이 찍혀있다. 또한 후면에는 당대의 인물이 공주우편국에서 서신을 보낸 점도 확인할 수…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이 보인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사라지고,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31과 동일한 자료이다.
경성세무감독국장 표창

경성세무감독국장 표창

일제강점기 사곡면 서기로 근무하던 인물이 경성세무국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표창장의 내용은 비상시국 즉 전시상황임에도 훌륭한 세무성과를 올렸다는 것이 담겨있다.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일제강점기 상설점포를 비롯해 노점상까지 생생한 공주의 시장풍경 엽서이다. 자료 앞쪽 쌀을 판매하는 싸전에서 짚신을 걸어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공주에서는 충청감영으로 약령시가 매우 성행하여 충청도 각지에서 올라온 약재상으로…
1936년 유구금융조합 거치예금통장

1936년 유구금융조합 거치예금통장

1936년 유구금융조합의 거치예금통장이다. 예금의 입출금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통장의 전면에 삽입된 삽화가 오늘날 통장과 다른 디자인을 보여준다.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89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89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500011937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500011936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500011935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500011934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500011933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500010598; 500010598; 500010598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500010541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500010540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1

500009312; 500009312; 500009312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500009310; 500009310; 500009310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500009309; 500009309; 500009309    명국삼장비 엽서

500009308; 500009308; 500009308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500009296; 500009296; 500009296    1914년 조선농회 물산품평회 사진그림엽서

500009287; 500009287; 500009287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500009286; 500009286; 500009286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500009285; 500009285; 500009285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500009284; 500009284; 500009284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500008756    경성세무감독국장 표창

500008897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500008903    1936년 유구금융조합 거치예금통장

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공주*     => 검색결과: 공주, 공주학연구원, 공주의 인물

후방일치 : 특정 문자열로 끝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 검색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중간보고서, 발간 보고서

+ 연산자 :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팔찌

! 연산자 : 제민천으로 시작하는 문구 중 정화운동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제민천 !정화운동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검색결과 : 189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개인

제목| 신사4월(1941년) 매곡사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에서 보낸 통문을 받고, 익산군의 매곡사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16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매곡사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7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오강서원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정홍식의 추배를 위해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무성서원으로부터 통문을 받고 전북 익산군의 오강서원 장의 정희석(鄭熙碩) 외 20명의 유림들이 백산서원에 3선생 위패 옆에 정홍식을 추배할 수 있게 해 달라고 보낸 통문이다. 연호 위에는 오강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6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신사4월(1941년) 무성서원 유림들이 정홍식의 백산서원 추배를 위해 각 도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

범위와내용|1941년 4월 전북 정읍 무성서원의 김환풍(金煥豊) 외 20명이 정홍식을 연재 송병선, 만포 정제호, 모은 정동식이 배향된 백산서원에 추배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각 도 군내의 향교와 서원에 보내는 통문이다. 연호 위에 무성서원의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5

생산일자|1941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정묘3월(1927년) 노성향교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7년 3월 노성향교 유림들이 정사홍의 업적을 추숭하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고 박승규(朴勝圭) 외 28인이각 지역 서원과 향교에 보내는 통문이다.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노성향교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4

생산일자|1927년 3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갑자4월(1924년) 노성 궐리사유회 유림들이 열군 향교와 서원에 보낸 통문

범위와내용|1924년 4월정사홍을 추숭하기 위하여 한 목소리를 내자고 노성 궐리사 유회소 재임 전 참봉 박병문(朴炳文)외 26명이 각 군의 서원과 사우에 보내는 통문. 정사홍의 가계와 행적이 수록되어 있고, 궐리사 인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1933

생산일자|1924년 4월

형태|문서류>고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고문서
  • 역사,유적,인물>인물(성씨)>일제강점기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2

범위와내용|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에서 나가노(長野)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98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마곡사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1925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식민지배 기념인장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대정 14년(1925)에 발행한 시정 15주년 기념 특별인장이다. 인장에는 '공주(公州)'라는 명문과 함께 연도가 삽입되어 있으며, 자료 뒷면에도 도장이 찍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1

생산일자|1925.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1911년 조선총독부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 1

범위와내용|조선총독부에서 1911년 발행한 시정 1주년 기념 사진그림엽서이다. 자료 좌측 상단에는 공주에서 사용된 기념인장과 ‘公州’ 명문이 날짜와 함께 찍혀있다. 엽서 뒷면에는 공주 반죽리(班竹里)에서 홋카이도(北海島)로 발송하는 글이 적혀 있다.

등록번호|500010540

생산일자|1911.10.01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2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성문 안쪽으로 정체를 알 수 없는 비석이 있으며, 성문 밖의 진입로가 정비되기 이전의 모습인 것으로 보아 1920년대 초, 공산성 공원화 정비 이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 문서류>서신

제목| 충청남도 포정사 엽서

범위와내용|충남도청의 정문인 포정사 모습을 담은 사진그림엽서이다. 엽서에는 당대에 관찰당이란 특이한 명칭으로 작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루와 연결된 담장이 전통의 형상을 온전히 갖고 있으며, 포정사 앞 관아대로(現 감영길)의 건물과 도로망도 전통적인 형식을 갖춘 모습이다. 따라서 본 자료는 포정사와 그 앞의 대로변이 일제에 의해 변화하기 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등록번호|500009310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9309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공북루 앞 민가와 나루터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이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최소한 민가 철거 이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308

생산일자|191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1914년 조선농회 물산품평회 사진그림엽서

범위와내용|1914년 조선농회에서 주최한 물산품평회의 충남지회 전시장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전면에는 당시 행사를 기념하는 기념소인이 찍혀있다. 또한 후면에는 당대의 인물이 공주우편국에서 서신을 보낸 점도 확인할 수 있다.

등록번호|500009296

생산일자|1914.11.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범위와내용|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287

생산일자|1929.10.15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입구 진남루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는 백제 웅진도읍기 산성이 축조되었을 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문루이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은 식민지정책에 따라 사적지를 공원화 하여 '산성공원'이라 불리었다. 엽서의 상단에 68년 간 백제의 왕성이었다는 사실과 진남루의 규모가 붉은 글씨로 기록되어 있다. 본 자료는 500007853과 동일한 자료이다.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범위와내용|공주 금강을 가로지르는 목교가 1920년 붕괴된 이후, 동년 곧바로 대체 다리로 배다리를 가설했다. 배 26척을 묶고 그 위에 상판을 올려 사람과 물산이 오가도록 했는데, 길이가 175m이고 폭은 3m였다. 하루에 오전과 오후 2시간씩 연결된 배를 풀어 나룻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다리를 열고 닫았다. 본 자료는 500007387과 동일한 원판을…

등록번호|500009286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배다리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범위와내용|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발발한 1598년 공주에 주둔하며 공주사람을 보호하던 명나라 세 장수 제독 이공과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비문에는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 장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일제의 시각으로 돌려서 엽서 제목을…

등록번호|500009285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 명국삼장비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범위와내용|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이 보인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사라지고,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500008131과 동일한 자료이다.

등록번호|500009284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문서류>서신

제목| 경성세무감독국장 표창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사곡면 서기로 근무하던 인물이 경성세무국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표창장의 내용은 비상시국 즉 전시상황임에도 훌륭한 세무성과를 올렸다는 것이 담겨있다.

등록번호|500008756

생산일자|1940.11.03

형태|문서류>일반문서

주제|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사곡면 서기로 근무하던 인물이 경성세무국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표창장의 내용은 비상시국 즉 전시상황임에도 훌륭한 세무성과를 올렸다는 것이 담겨있다.
  • 문서류>일반문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제목|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범위와내용|일제강점기 상설점포를 비롯해 노점상까지 생생한 공주의 시장풍경 엽서이다. 자료 앞쪽 쌀을 판매하는 싸전에서 짚신을 걸어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공주에서는 충청감영으로 약령시가 매우 성행하여 충청도 각지에서 올라온 약재상으로 붐볐던 곳이다. 지금의 봉황초등학교 부근에서 약령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시장이 약화되자 김갑순의…

등록번호|500008897

생산일자|1920.00.00

형태|문서류>서신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시장 엽서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상설점포를 비롯해 노점상까지 생생한 공주의 시장풍경 엽서이다. 자료 앞쪽 쌀을 판매하는 싸전에서 짚신을 걸어 함께 판매하는 것이 이색적이다. 공주에서는 충청감영으로 약령시가 매우 성행하여 충청도 각지에서 올라온 약재상으로 붐볐던 곳이다. 지금의 봉황초등학교 부근에서 약령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경술국치 이후 시장이 약화되자 김갑순의 투자로 지금의 큰 사거리와 작은 사거리 사이에 상설시장이 형성되었고 점차 북쪽으로
  • 문서류>서신

제목| 1936년 유구금융조합 거치예금통장

범위와내용|1936년 유구금융조합의 거치예금통장이다. 예금의 입출금 내역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통장의 전면에 삽입된 삽화가 오늘날 통장과 다른 디자인을 보여준다.

등록번호|500008903

생산일자|1936.00.00

형태|문서류>문서 기타

주제|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개인
  • 문서류
  • 일제강점기
  • 일제강점기
  • 문서류>문서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