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2021년도 공주문화원 특성화 사업 공주민속 이야기 : 금강이야기 금강과 사람들(채록정리 이걸재)

    목차
    금강과 사람들
    금강변 마을의 작은 역사
    녹취록

  • 공주 금강변 풍경(1)

    세종시에서 부여를 잇는 금강변의 자전거 도로의 풀이 무성한 여름 모습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10)

    공주보 수문을 열어 금강물이 바짝 말라 강 바닥이 거의 드러난 공산성 부근의 모습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11)

    금강교 부근에서 무성한 잡초를 베어내는 제초작 모습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12)

    공주보 수문을 열어 금강물이 바짝 말라 강 바닥이 거의 드러난 공산성 부근의 모습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13)

    세종시에서 부여를 잇는 금강변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무릉동 쉼터"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14)

    금강 급수장에서 강물의 수계를 표시하는 표지판이 완전히 드러나 있는 모습니다. 

  • 공주 금강변 풍경(15)

    세종시에서 부여를 잇는 금강변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석장리동 쉼터"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16)

    세종시에서 부여를 잇는 금강변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석장리동 쉼터"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2)

    세종시에서 부여를 잇는 금강변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월송동 쉼터"이다.

  • 공주 금강변 풍경(3)

    "월송동 쉼터"에 작년까지는 넓은 평상도 있어 앉아 쉬기가 좋았는데 어느날 갑자기 사라졌다.

  • 공주 금강변 풍경(4)

    "월송동 쉼터"에서 신관 방향으로 불과 200여m 지점에 또 하나의 "월송 쉼터"가 생긴지 재작년에 생겼다. 아마도 월송동 쉼터에 있는 평상을 없앤 대신 새롭게 생긴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