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벚꽃터널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산성 옆 일명 '벚꽃터널'의 모습이다. 이곳은 금강을 건너면 나오는 공주의 진입로로서 현재 금강교 남단에서 금서루를 지나 시가지로 들어가는 도로(現 웅진로)이다. 일제는 공산성을 공원화하며 이름을 '산성공원'으로 바꾸며…

  • 미나리꽝의 미나리 채취 전경

    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 미나리꽝으로 옮겨온 근향정 (3)

    1990년에 근향정을 미나리꽝이 있던 자리로 이전 설치 한 후 촬영한 사진이다.

  • 미나리꽝으로 옮겨온 근향정 (2)

    1990년에 미나리꽝이 있던 자리로 근향정을 이전 설치 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 미나리꽝으로 옮겨온 근향정 (1)

    근향정이라고 불리는 이 육각정은 원래 교통통제를 목적으로 충남도청(대전) 앞에 위치하였으나, 후에 공주로 옮겨와 춘수정 앞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연문광장 사거리로 옮겨졌다.

  • 미나리꽝에서 미나리를 채취하는 어머니들의 점심도시락

    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 미나리꽝에서 미나리를 채취하는 어머니들

    공주출신 사진작가 신건이가 공주의 여러 모습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 미나리꽝에 위치한 어린이 놀이터 (1)

    1990년에 미나리꽝이 있던 자리가 매립되고 놀이터가 들어선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 미나리꽝에 위치한 무령왕릉 연문 (3)

    금서루를 통해 공산성에서 나오는 길 서북쪽에 위치한 백제무령왕릉연문의 모습이다. 연문은 무덤으로 통하는 문을 의미한다. 연문광장 일대는 과거 미나리를 심는 논, 즉 미나리꽝이 있던 자리로 1980년대 도시개발과정에서 매립되었다.

  • 미나리꽝에 위치한 무령왕릉 연문 (2)

    금서루를 통해 공산성에서 나오는 길 서북쪽에 위치한 백제무령왕릉연문의 모습이다. 연문은 무덤으로 통하는 문을 의미한다. 연문광장 일대는 과거 미나리를 심는 논, 즉 미나리꽝이 있던 자리로 1980년대 도시개발과정에서 매립되었다.

  • 미나리꽝에 위치한 무령왕릉 연문 (1)

    금서루를 통해 공산성에서 나오는 길 서북쪽에 위치한 백제무령왕릉연문의 모습이다. 연문은 무덤으로 통하는 문을 의미한다. 연문광장 일대는 과거 미나리를 심는 논, 즉 미나리꽝이 있던 자리로 1980년대 도시개발과정에서 매립되었다.

  • 미나리꽝 주변 춘수정(노인정) (3)

    1993년에 촬영한 웅진동 내 경로당 춘수정의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