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박물류
전체 859건
본 지도는 1926년에 제작된 공주 도심 지도로 현대적 개념의 축척이 적용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당시 도심에 위치한 상점의 위치와 전화번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1939년(소화 13년) 4월에 측량하고 제작한 중 도(圖) 23장의 제7호 도면이다. 1천 2백 분의 1 축척으로 제작되었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20
공주여자사범학교 총동창회 정화회에서 사용한 도장이다. '公州女師貞和會長印'이 새겨져 있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36
축척: 1:25,000
, 도엽번호 NJ52-13-11-4 (366084)
1976년에서 2015년 사이 신문을 스크랩한 것으로 2002년 2월 5일 충남도청신문 '아산신도시' 발표 후 도청 유치론 힘 얻어 외 260건의 기사가 스크랩되었다. 공주대 교명 변경 반대, 백제 역사기행, 로마제국의 역사 , 통풍 치유법, 금강교, 송산리 고분,…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57
계룡면 중장리의 중장공소에서 제3대 회장으로 활동한 김영철 님이 소장한 자료이다. 1989년 9월부터 1997년까지 공소의 회장을 역임하며, 신앙심과 봉사정신으로 8개성상을 중장공소 회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신자간 우의를 다지고 공소와 본당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크므로…
2000년 공주대학교에서 운행한 교직원 및 학생 통학버스의 탑승권의 모습이다. 당시 공주대학교에서는 주변 여객운수업체와의 다툼에도 불구하고 전세버스를 대절하여 학기 중에 통학버스를 운행했다.
무령왕국제네트워크협의회에서 화가 김영화가 무령왕의 모습을 복원하는 포럼이 진행되었던 것을 안내하는 현수막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2-042
1998년 당시 공주에서 수원과 동서울, 인천을 오고가는 노선의 운행시간표를 수록한 명함크기의 자료이다. 당시 삼흥고속과 금남고속에서 해당 노선을 공동으로 배차했다. 나아가 모바일 기기의 발전이 미비한 시절 지갑 속에 넣고다니며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의 버스시간표의…
2014.09.26~10.05 동안 개최된 제60회 백제문화제에서 행사진행관계자에게 발부한 명패이다.
공주고등보통학교의 본관과 기타 일부 건물의 배치도이다. 배치도와 함께 간략한 범례를 확인할 수 있다.
대정 6년(1917)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대전지역의 모습을 펴낸 지도이다.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이 주최하고 공주학연구원이 후원하여 진행한 나선화 문화재청장의 강의를 알리는 현수막이다. 23일에 진행하는 강의가 16일로 잘못표기되어 있다.
공주여사범학교 본관 수리공사에 관한 도면 중에서 배치도를 기록한 부분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