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2001년 47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제5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으로, 공주여자중고등학교 앞에서 찍은 사진이다. 학교 교문에는 '재건국민운동촉진대'를 알리는 현판과 '한핏줄 한겨레 한뜻아래 단결하자'는 당대의 표어가 붙어 있다.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2월에 4년제의…
관골의 변화⑧ 이후의 집들은 철거되었다.
본 자료 기증자가 가족들과 공산성으로 나들이 나온 모습이다. 뒤로 쌍수정이 있다.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작품 사진_헝가리그룹프로젝트, 싹(2)
1954학년도 공주사범대학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50년대 초 공주중학교 전경이다. 당시 공주중학교는 현재의 공주고등학교와 함께 교정을 사용했다. 오늘날의 위치로 이전한 것은 1973년의 일이다.
공주학연구원 아카이브팀에서 드론을 활용하여 촬영한 초여름 금강철교와 공산성의 모습이다. 상춘객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03년 '공주고등학교의 어제와 오늘 사진앨범' 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1동과 2동을 연결하는 도복도 공사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도복도 공사가 완료된 모습을 촬영하였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2018년 4월 28일 열린 유불무가 함께하는 2018 계룡산산신제의 제 21회 계룡산 무가식 산신제 진행 모습이다.
제민천 정화활동에 참여한 전병용 공주시장의 모습이다.
2003년 제49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사진으로, 시내를 행진하며 행사를 성대하게 치르고 있다. 백제 군복을 입은 학생들이 모형 말을 끌고, 말 위에는 장수 분장을 한 학생이 칼을 들며 기마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⑱ 허름하지만 그래도 이 길에는 인도가 있다.
2013년 백제문화학교 체험프로그램 활동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1984년 금강둔치가 개발되기 전, 둔치에서 재배한 단무지용 무 수확이 한창인 모습이다. 허리 아픈 것도 잊은 채 속이 잘 든를 무 뽑아 차곡차곡 망에 넣노라면 하루가 금새 저문다. 망에 담긴 무는 트랙터로 모아 한꺼번에 이동시킨다. 자료 좌측으로는 신관동에 새롭게…
2008 계룡산 봄꽃 문화예술제 행사장 애드벌룬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