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대광보전에 걸려있는 '영세불망출원'에 관한 것이다. 관찰사 겸 순찰사 심풍지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1975년 공주문화원에서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3월 한 달간 태극기 바르게 계양하기 운동과 애국가 모두 부르기 운동을 실시함을 알리는 공문에 첨부된 국기계양일과 국기계양법 안내문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효자 향덕(向德)의 이름 표기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정려에 대한 설명과 의의에 이어, 효자 향덕(向德)을 향덕이 아닌 상덕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제언이 기재되어 있다. 하단에는 백제삼서(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가…
1951년 대한민국 재무부장관 명의로 발행된 국정보조권 금이백원이다. 국정보조권은 일종의 국채로서, 중앙정부가 자금조달이나 정책집행을 위해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채무증서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1년 2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1957년 공주영명고등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영수증으로 일금 1,500환을 납입한 것을 증빙하고 있다. 졸업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졸업비목으로 학교에서 해당 금액을 영수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청구서를 받는 학생의 학년과 반, 성명은 금액 상단에…
우성면 어천리에 거주자의 재산세, 방위세 납부영수증이다.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미담가화 시상식, 무연분묘 벌초해주기, 금산인삼엑스포 자원봉사, 깨끗한 승강장 만들기, 9월 주요사업 추진계획
1974년 기증인을 반포면에 근무하도록 통지하는 인사발령통지서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고방에 소장된 정혜사 극락전 칠성도에 관한 조사카드이다. 본 자료는 금호당 약효와 관련된 탱화로 금호가 수화사로 활동하던 초기의 작품이다.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배다리(구 금강교) 관련 신문기사 이미지 (7)
1967.02.28, 공주문화원 회의실에서 진행된 제12차 이사회 회의 속기록이다. 앞서 총회자료와 마찬가지의 의제가 논의되었고, 제11차 이사회 회의록 채택과 명예이사장 천흥락 선생에 대한 기증품 전달식 안건, 기본운영 세입방안 협의, 문화원 송사현황에 대한 의제…
1969년 기증자가 충청남도에 요청한 하천부지 점용에 관한 허가를 내어주는 증서이다. 내용에 의하면 점용기간은 1970년 12월 31일까지 허가한다고 되어있다.
부여군이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행사종목과 행사일정 , 행사종목별 추진계획 , 홍보 및 환경정비 계획 , 행사추진 조직구성에 대한 내용과 백제문화제 연혁을 수록함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1955년 공주중학교 재학생에게 발행한 영수증으로, 제5기분 사친회비 추가납부분으로 일금 일천오백환을 청구 및 영수하는 문서이다. 공주금융조합에서 영수하였으며, 학생의 학년과 반, 성명이 좌측에 기재되어 있고, 상단에는 '공중'이라는 표시가 있다. 자료 뒷면에는…
충청남도에서 주관하는 제 26회 백제문화제 대한 개선기본계획안과 백제왕제, 삼충제, 궁녀제, 삼산제에 대한 세부시행계획과 배치도를 수록함
1966.10.25부터 10일간 공주문화원에서 진행된 요리강습회에 관한 안내문이다. 요리계의 권이자인 권경실 여사를 초청하여 강습회가 진행되었으며 2개의 반으로 나눠 수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