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38년 유구에서 태어났으며,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학업에 대한 열망으로 평생일기를 써왔다. 기증자의 직업이었던 직조, 방앗간, 농사에 관련된 이야기와 유구의 생활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오랜 천주교신자로 유구성당의 사목회장을 역임했다. 유구성당에 관한…
1994.6.2. (가칭)우금티동학농민전쟁 백주년 기념사업회에서 보내는 창립총회초대장과 취지문이다. 발기추진공동대표에 윤여헌 교수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창립총회일자는 1994.6.11. 장소는 공주문예회관이다. 2장에서는 발기 취지문, 3장에서는 윤여헌 교수에게…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명부전에 소장된 정토종 포교당 시왕도-제9도시대왕에 관한 것이다.
한국사학회에서 발송한 60, 61집 발송 안내 서신이다. 학술지 발송지가 늦어진 점에 대해 사과하며, 회비납부 관련 안내를 하고 있다. 서신 뒷면에 윤여헌 교수가 회비납부계좌를 메모하였다.
한겨레공주가족 1993년 4월호 소식지이다. 주요내용으로 우금치 동학혁명 전적지 성역화 추진과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1958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수입이자영수증이다. 단기로 기재된 날짜 밑으로 영수받는 자의 성명이 적혀있다. 전표 가장 우측에는 세로로 금액을 기재할 수 있고, 대부(貸付)종별과 연월일, 산출원금(算出元金)과 연월일 및 일수, 이율과 이식(利息)을 차례대로 적는 칸이…
공주군 이인면 오리(현 공주시 오곡동)에 사는 이건표가 이인면사무소에 세금을 내고 받은 납세고지서이다. 세종은 토지세로서 1959년 제2기분으로 1섬(石) 3말(斗) 2되(升)를 냈다. 2叭에 24킬로그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당시 이인면장은 박승식(朴承植)이다.
1963.02.14, 공주문화원에서 공무원과 직장인의 근무 교양 고양을 위해 영화 상영회를 갖고자 상영 희망 영화 신청을 접수받기 위해 본 자료를 배포했다. 인관관계에 얽힌 내용의 영화를 신청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문호가 2학년 재학 중 받은 품행,학술우수상이다. 학교명은 '新上德巖公立國民學校'로 기대되어있다. 이름은 '密山文鎬'로 기재되어있다.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1997년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세미나 안내 문서이다. 세미나 순서, 일시, 장소에 대한 안내사항과 함께, 무령왕릉에 대한 요약문을 복사하여 붙여 놓았다.
1995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
윤여헌이 작성한 기고문이다. 이인면의 이인초등학교 옆에 동향한 산에 있던 찰방의 송덕비들을 역장에 비유하여 쓴 글이다.
1963.06.29, 공주문화원에서 진행된 주부교양강좌에서 배포된 강의 보충자료이다. 당시 미 공보원 아서 맥타가트가 내원하여 미국 여성의 생활이란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다.
일제강점기 공산성에서 출토된 금동봉황형 장신구 엽서이다.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1941년 4월 입학생을 대상으로한 신입생 모집 공고이다. 입학에 필요한 지원자격과 주의사항을 담고있다.
공주문화원에서 일본 현지 답사를 위해 발급받은 여행비 및 개인환전액 영수증과 참여인 명단이다.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명부전에 소장된 정토종 포교당 시왕도-제3송제대왕에 관한 것이다.
2007년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일본 누마즈북로타리클럽 공주 우호 방문단의 일정표와 우호방문단 10명의 회원 명단이 실려있다. 일행은 공주로타리클럽창립30주년기념축하회 참가, 공주국립박물관견학, 백제문화재현단지견학 일정을 마치고 서울로 갔다가 인천공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