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도서간행물류
전체 10588건
1959년 발행된 제8회(창립이래 32회) 공주중학교 졸업앨범이다. 해당 앨범이 발행될 시기 공주중학교 교사(校舍)는 지금의 공주고등학교와 함께 중학동에 위치하였다. 앨범 속에서는 1958년 3학년에 재학 중이던 졸업생들과 이들을 가르쳤던 교직원의 모습을 살펴볼 수…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2
3.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3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특성과 제2외국어 교육 현황 6
1. 공주와 홍성의 지역 여건 6
2. 공주지역 학교 여건과…
목차
머리말 = 11
백제의 중앙과 지방에 대한 연구동향 = 19
1. 정치세력에 대한 이해 = 19
2. 중앙통치제도에 대한 논의 = 21
3. 지방통치체제에 대한 관점 = 24
백제 국가의 성립과 전개 = 31
1. 백제사의 공간과 시간 = 31
2. 백제 국가의…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5_05_25_y0001_0990
1968.06.08 진행한 천흥락 선생의 공주문화원 신축비 등 성금 기탁식 관련 신문기사이다.
https://www.nl.go.kr/newspaper/detail.do?content_id=CNTS-00093831488&from=%EC%8B%A0%EB%AC%B8%20%EA%B2%80%EC%83%89
1976년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소득증대와 농촌 소득 향상을 위해 스테비아 재배를 보급하기 위한 안내팜플렛이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npda_1923_06_21_v0004_1030
1965년 3월 21일 동아일보에서 발행한 호외 신문이다. 단일변동환율제를 실시하며, 외화 사용은 증서를 별첨해야하고 매매양도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등의 경제 정책 변화 내용을 기사로 발행한 호외이다.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정기간행물이다.
Ⅰ. 머리말
Ⅱ. 현종의 즉위
Ⅲ. 현종과 공주
Ⅳ. 맺음말
제1부. 고문서
제2부. 서적
제3부. 논문 및 현장조사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