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55년 공주중학교 신입생 책상 및 의자 대금으로 일금 일천육백환을 청구 및 납입을 영수하는 문서이다. 한국저축은행 공주지점에서 영수하였으며, 하단에 수납을 증빙하는 도장이 찍혀 있다.
1910년대 초반무렵,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산성 방향인 북쪽을 바라보고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500008204와 비교했을 때, 불과 몇 년 사이에 듬성듬성 자리잡은 민가가 늘어 났음을 볼 수 있다. 이곳은 현재 중동 큰사거리 부근으로, 충청병영의…
백제문화선양위원회위원장의 주재로 천도행사의 주요등장인물 선정, 음복의 자리식단 결정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참석대상자 명단 수록
1993년 7월 13일 대전시민회관 대강당에서 개최된 자료이다. 하나의 클립에 안내팜플렛과 공주시지역 회의자료가 함께 뭉쳐있다. 첫 자료는 제6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안내팜플렛으로 진행순서,좌석배치도,오찬장 구성으로 되어있다. 두번째 자료는 공주시 민주평화통일위원회…
윤여헌 교수의 조카인 윤홍식이 윤여헌 교수에게 전해올린 두번째 친필 문안 서신이며, 동토 윤순거 선생의 친필 유묵에 대한 소장 여부를 여쭈고, 자신이 일본에서 특별 전시회를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알리었다.
백제문화제 관련기사 대전일보(1955~1969, 1970~1979, 1980~1989, 1900~2000)(1973~1977년까지 충남일보로 개칭), 백제문화제 관련기사 중도일보(1955~1988)(1973~1987년까지 일시 폐간)
윤여헌 교수의 조카인 윤홍식이 윤여헌 교수에게 전해올린 친필 문안 서신이다. 본 서신이 작성되던 당해 기준(1995년)으로 익년인 1996년이 동토 윤순거 선생의 탄생 4백주년을 맞이하는 해로서 유의미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윤여헌 교수가 집필하였다는 동토 선생의…
공주시 무릉동 일원에 대한 마을조사 기초조사자료 중 하나이다. 조사지 내에 빼곡히 적힌 기증인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1918년 공주시가지도이다. 출처미상의 지도 복본으로 당시 공주 시내의 약도가 그려져 있다.
홍익명경대건립위에서 충남정신발양추진 공주시협의회장에게 보낸 공문이다. 홍익명경대건립위원회에서 홍익명경대건립공동주최단체 영입을 위해 충남정신발양추진협의회 공주시협의회의 협조와 참여 부탁하고 있다. 2장에는 홍익명경대(역사비) 건립취지, 3장에는 역사비 조형도, 4장에는…
1997년 공주향토문화연구회 세미나 안내 문서이다. 세미나 순서, 일시, 장소에 대한 안내사항과 함께, 무령왕릉에 대한 요약문을 복사하여 붙여 놓았다.
공주군 장기면(長岐面) 장암리(壯岩里)에 거주하는 주민이 학창시절부터 소장하고 있던 일선장병 위문엽서이다. 한국전쟁 이후 국립충남상이군인정양원에서 제조 및 발행하여 각 국민학교에 배부하였고, 학생들이 쓴 위문엽서를 상이군인에게 전달하는 식으로 운영하였다고 한다. 엽서…
계룡국민학교재건기성회에서 단기 4291년도 계룡국민학교재건비로 일금 천삼백원을 수령하였다는 내용의 영수증이다. 자료 우측에는 납입한 진상옥님의 성명과 계룡면 유평리가 기재되어 있으며, 도장 절반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통지서와 영수증을 분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사대부고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3년 9월분 월급봉투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성령기도회 명단으로, 신도들의 성명 및 세례명, 전화번호 등이 인쇄되어 있다.
http://archives.kdemo.or.kr/isad/view/00460877
1. 기본운영계획개요-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도표, 본원 이사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본원 연혁, 본원 시설 현황, 탑의 노래(원가),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79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금년도…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위원장의 주재로 행사 종목조정안 , 추진계획안 , 예산조정안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회의요약 , 백제문화선양위원회 참석상황 수록
이문호의 모친 '장분희'의 초상 시 작성된 부의록이다. 첫 장에는 '계묘 11월 18일', '부의록'이 적혀있다. 본문을 보며 마을이름과 부의객의 이름, 부의품목, 수량이 적혀있다. 품목에는 돈, 계란, 백미 등이 있다. 12쪽과 20~21쪽에는 초상 시 사용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