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신기동에 위치한 계룡산묵사랑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⑦ 휘어진 길에 아까시꽃이 피어 있다. 그런데 언제 차가 튀어 나올지 모르는 길이라 조금 무섭다.
1957년 농촌문화의 새싹이 움트는 계절을 맞이하여 공주문화원 관계자와 관내 학생들이 공주 반포면 상신리 일원의 농촌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이다.
2006 계룡산 산신제 무가식산신제 (61)
1966년 신축이 이뤄진 공주문화원 정문 앞에 선 이관용 원장의 모습이다.
2006년 52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공주문화원 내외관계자 일행이 계룡산 동학사를 방문한 모습이다.
조선시대 공주 출신으로 일본으로 건너간 도공 '이삼평'이라는 인물을 기념하고 더불어 도자기 문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설립된 이삼평연구회의 활동사진이다. 공주에 살던 이삼평은 임진왜란 중인 1596년에 일본의 가라쓰로 피랍되었다. 이후 아리타 지역에으로 이주하여 순백의…
1981년 개교 60주년을 맞은 반포국민학교는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학생들의 학예행사발표회를 가졌다. 한편 1981년 개교 100주년을 맞는 반포국민학교는 1921년 반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교육령에 의해 반포국민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오늘날 반포초등학교로 이어지고…
1979년 제13회 공주직업소년학교 졸업식에서 학교장상을 시상하는 이관용 교장의 모습이다.
1995년 5월 14일 10시에 공주고등학교에서 진행한 1995년도 공주중·고등학교 총동창회 공주지부 정기총회 관련 사진으로, 공주중·고등학교 총동창회원들이 공주고등학교 운동장에서 배구 시합을 하는 모습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6년 계룡국민학교 제54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6학년 2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교실 뒤편의 게시판을 배경으로 촬영하였으며 학생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1979년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교내 채소밭을 정리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 우측에 '패할대근(貝割大根)의 소채류, 파종된 곳: 강당 옆(79년 봄 일본 기증)'이라고 쓰여져 있는데, 貝割大根은 'かいわりだいこん(카이와리다이곤)'을 일컫는 말이며 무 씨앗에서 싹 터…
공주시 오룡리 숭선군 묘 앞에 놓여있는 문인석의 모습이다.
공주문화원 내외관계자가 촬영된 활동모습이다.
1957학년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축구부의 모습이다.
2013년 찾아가는 백제문화학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이다.
공주군 농촌지도소 주관의 여름철 벼농사에 대한 농민교육으로 기간은 1989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