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 92년 사업실적 분석개요 / 2. 총괄부문별 사업실적통계표 / 3. 문화홍보사업 / 4. 도서관사업 / 5. 시청각교육사업 / 6. 방송사업 / 7. 원사시설대외 활용실적
윤여헌이 자필로 작성한 메모이다. 급속한 경제발전과 사회변동 안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위의 평가가 크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시작하면서, 기회균등, 가치관의 변화, 평생교육, 기업과 교육 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2001년 4월 27일에 공주시에서 공주시향토문화연구회장에게 송부한 길이름 붙이기 자문의뢰 공문이다. 길이름 붙이기 조서 1부가 첨부되어있다.
1961.10.31, 다방 왕궁에서 진행한 제73회 음악감상회 안내장이다. 감상곡으로 가벼운 음악과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 연주되었다.
1964.08.15, 공주문화원 주최로 공민회관에서 진행된 공주 관내 중고생 웅변대회 개최를 알리는 안내문이다.
총재 加藤恒七의 글 R재단학우들에게(R財団学友た寄せて)와 일본 누마즈북로타리클럽 시미즈 아츠시(清水淳)의 글 브로큰 잉글리쉬, 만세(ブロークン·イングリッシュ,万歳)가 실려있다.
계룡국민학교 제50회 졸업생 김순준님의 상장이다. 1972년 2월 18일에 발행되었으며,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1911년 4월 3일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 일대에서 진행된 신무일왕 탄신기념 식목행사 모습이다. 좌측의 동산은 현재의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으로, 나무를 심는 인부의 모습과 함께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각의 지붕도 확인할 수 있다. 일제는…
1964~1966년 공주문화원에서는 전국 최초로 자립된 문화원 청사를 건축했다. 해당 과정에서 각계각층의 수많은 이가 기부금을 납부하는 등 신축공사를 위한 자금을 모았다. 본 자료는 신축공사를 위해 수입한 기금 총액을 작성한 명부이다. 당시 신축비 수입 총액은…
1963년에 발급된 정안국민학교 졸업장이다. 정안초등학교는 1922년 5월 23일에 정안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정안공립심상소학교와 정안국민학교를 거쳐 정안초등학교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37년에 학생 수가 증가하여 문천간이학교가 개교하였는데, 1944년에…
홍익명경대건립위에서 충남정신발양추진 공주시협의회장에게 보낸 공문이다. 홍익명경대건립위원회에서 홍익명경대건립공동주최단체 영입을 위해 충남정신발양추진협의회 공주시협의회의 협조와 참여 부탁하고 있다. 2장에는 홍익명경대(역사비) 건립취지, 3장에는 역사비 조형도, 4장에는…
동치 12년(1873, 고종10) 12월, 이주일을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겸오위장에 임명하는 교지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수업료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수증에 의하면 청구한 수업료는 8월분으로, 일금 만칠천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하단에는…
1963년 전기분 장기면 재산세 및 소방세에 대한 영수증이다.
일제강점기 사곡면 서기로 근무하던 인물이 경성세무국으로부터 받은 표창장이다. 표창장의 내용은 비상시국 즉 전시상황임에도 훌륭한 세무성과를 올렸다는 것이 담겨있다.
1987년 4월 12일 충청남도테니스협회가 주최한 1987년 충청남도 춘계 종별 테니스대회에서 공주고등학교 학생 손동열, 이재남이 남자고등부 복식 2위를 차지하여 받은 상장이다.
1989년 공주시체육회와 공주시에서 주최한 제2회 시민체육대회에서 공주금학국민학교가 여자 400m부문 2위를 기록하여 받은 상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