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농촌지도의 일환으로 감자농사 결과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팻말의 내용을 통해서 면적, 설치시기, 생산목표등을 확인 할 수 있다.
1962년 공주문화원 개원 5주년 및 한글날을 기념하여 공산성 4.19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백일장 모습이다. 본 자료는 입선자를 발표하는 모습이다.
공주시 우성면 귀산리의 만경노씨 노세득과 노응탁의 묘소이다.
1960년대 후반, 식수대에서 물을 마시는 학생들의 모습이다.
제45회 유구국민학교 졸업앨범에 실려 있는 사진으로, 1961년 유구국민학교 운동회 모습이다.
1970년대 공주문화원에서 중화민국 대사관 공보관을 초빙하여 강연회를 개설하였다. 행사장에서 공보관이 강연을 준비하고 있다.
언덕 쯤에 현대아파트가 보인다. 그 넘어에 있는 기존 도시와의 격세감을 느끼게 한다.
1978년 10월 25일 제24회 백제문화제 서막식에서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관악대의 모습이다. 당시 서막식은 공산성 쌍수광장(추정왕궁지)에서 열렸다.
1961년 제10회 영명중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1960년 영명중학교 학생들이 지금의 충남역사박물관 자리에 위치하였던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앞에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강변 공원에 설치 중인 비엔날레 작품과 오가는 사람들을 촬영한 모습이다.
2005년 5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65학년도 공주중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 방문시 촬영된 것이다.
2013 백제문화학교 공공기관직원대상 현장답사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1990년 공주고등학교 졸업앨범에 실린 3학년 1반 학생들의 모습이다. 현재의 충남역사박물관이 위치한 공주박물관에 소풍간 기념사진으로, 사진 오른쪽으로 중동성당건물과 첨탑의 모습이 보인다. 교복자율화 시기의 자유로운 복장을 한 학생들의 모습이 눈에 띈다.
고마나루 명승길(정안천)⑭ 그래도 저 연밭은 곧 연잎이 무성해질 게다.
공주고등학교의 1978년 사진첩의 사진 중 하나로, 1978.04.15. 공주고등학교 학생들이 화단과 배수로를 정리해 깨끗해진 교내를 촬영하였다.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학생들이 수업을 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였다. 세 명의 학생들이 교탁에서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있으며, 칠판에는 '주제: 바람직한 청소년상 정립을 위한 방안'이라고 쓰여 있으며 식순이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토론을 하고 있음을…
1966년 개최한 제12회 백제문화제에서 백제중흥 5대왕에 대한 추모제를 지내는 모습이다. 백제중흥 5대왕은 웅진으로 천도한 문주왕부터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까지를 말한다. 추모제는 공주향교에서 주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