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수상내역에 관한 상세기록
일본서기와 5세기의 백제-곤지는 왜 일본으로 갔나(한성대학교 이재석)
1986.10.11, 공주문화원 생활관에서 진행한 제54차 임시총회 회의록이다. 당시 임시총회에서는 1986년도 제1차 추가경정 세입세출 예산안 심의가 이뤄졌으며, 문화원 직원들의 처우개선에 대한 논의도 간략히 언급되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공주향교 문서현황에 대한 메모이다. 메모의 서두에는 라고 기재하였으나, 문서목록을 확인할 결과 공주향교에서 현재 소장하고 있는 향교문헌목록이다. 메모에 기재한 향교문서로

1. 향안
2. 청금록
3. 절목, 완문
4. 기타-노비안 등
5.…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1993년 4월 김영삼 대통령이 윤여헌에게 보낸 친서이다.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들이 나라발전과 국민화합을 앞장서 이끌어 통일의 기반을 다져 준것에 대해 치하하는 내용이다.
고도 공주를 다시 본다' 출판전 일부 교정본이다. 기증자가 펜으로 교정해놓았다.
1979년 유구우체국에서 발행한 당해년도 4월분 우편배달부의 월급명세서이다. 당시 노란 갱지 봉투에 월급을 담고, 월급의 상세 내용을 수기로 기재한 명세서를 봉투 앞에 호치키스로 찍어 지급했다고 한다.
이인보통학교에서 발급한 졸업증서이다. '보통학교 6개년 수업연한의 전교과를 졸업하였음을 증명한다'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고, 해당 학생의 이름과 생년월일, 졸업증서 발급 날짜, 당시 이인보통학교 교장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이인초등학교는 1913년 5월 1일…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서 1941년 4월 입학생을 대상으로한 신입생 모집 공고이다. 입학에 필요한 지원자격과 주의사항을 담고있다.
백제문화선양위원회위원장의 주재로 제 42회 백제문화제의 역사문화행렬 코스조정 , 역사문화행렬 종목변경 , 백제문화제 예산수정에 대해 토의한 회의록 / 회의요약 , 부여군백제문화선양위원회 명단 수록
대학관련 교육개혁과제의 세부추진계획 수립 외
백제의 선현 왕인박사를 추모하기 위한 사진전에서 배포한 홍보 엽서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공주사대부고 부설 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83년 2월분 월급봉투로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고등학교 전용으로 제작되었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1972년 정안국민학교는 개교50주년을 맞아 개교기념식 및 고 원종국회장의 공적비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유가족들은 학부형 및 지역유지들과 학교의 도움에 감사하고 고 원종국회장의 뜻을 받들 것을 다짐하는 내용이 적혀 있다.
무령왕교류진제이정실행위원회에서 기증자에게 백제 무령왕 탄생해협지 역사, 문화 포럼 참석을 위한 프로필 작성을 요청하는 문서다. 약력서 양식과 포럼 및 탄생제 팜플렛이 첨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