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주시 계룡면에 위치한 충헌공 윤전을 기리는 사우의 모습이다.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 일대에서 진행된 계룡산 철화분청 도예촌 발굴조사 결과물로 출토된 유물의 모습이다.
1956년 공주문화원과 공주읍이 공동으로 주관한 신년 교례회의 모습이다.
2008년 제54회 백제문화제기간의 공주시 부스의 홍보 모습이다.
2001년 계룡초등학교 운동회 사진이다. 반대항 줄다리기 경기가 진행 중이다.
대교교회에서 진행한 1967년 심령대부흥회를 마치고 나서 교인들이 모두 함께 촬영한 사진이다. 심령부흥회는 목회자들 뿐만 아니라, 주일학교 학생들부터, 청년부, 유치부가 모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공산성쪽에서 바라본 금강교와 전막일대의 전경사진으로 공주여중 졸업사진에 삽입되어 있다. 공주여자중학교는 1928년에 공주고등여학교로 개교하였고, 두 차례의 학제 개편 후 1977년에 공주여자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1979년에 현재의 위치인 교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1997년 43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5년 6월 4일 11시에 공주고등학교 강당에서 진행한 공주중·고등학교 제10대 김용환 회장 취임식 관련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합주단이 축하 공연을 하는 모습이다.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교우회지 개교15주년 기념호의 표지를 촬영하였다. 이 15주년기념 특별호는 표지에 '지나사변(支郡事變)'이라 쓰인 것과 같이, 1937년 중일전쟁 발발로 인해 황국신민화 정책이 담긴 내용 위주의 글들이…
석장리 유적지 표지석으로 "1964.2.12/29" 숫자가 한자로 새겨져 있고, "석장리유적지", "연세대학교" 글자도 함께 새겨져 있어 1차 발굴조사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진행하였음을 알리고 있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공산성 금서루에서 펼쳐지는 명사와 함께하는 금강 달빛별빛이야기에 손님으로 초대된 시인 박제천이 관객과 함께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2003년 '공주고등학교의 어제와 오늘 사진앨범' 앨범에 실린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교문 개막식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공주고등학교 교문 앞의 봉황새 상의 앞모습을 촬영하였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물재 이원구(勿齋 李元九) 시비 모습이다. 이원구는 1950년대 초, 공주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시회를 주관하여 공주 지역 문화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시비는 1996년 11월 15일…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일본 사가현 아리타에 있는 이삼평 묘역이다. 정유재란 때 조선에서 데려 온 이삼평은 일본에서 처음으로 자기를 만들게 되는 역사를 만든 장본인이다. 아리타초에서는 창업 300년을 맞아 1916년 도산신사(陶山神社) 뒤편 언덕에 '도조 이삼평의 비'를 세워 그 공적을…
1932년 발간된 충청남도발전사 내 수록된 공주형무소의 모습이다.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충청남도 교육청 교육감인 강복환 교육감이 모교인 공주고등학교를 방문했을 당시를 촬영하였다. 교육감이 학생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