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89년 4월 14일 공주시에서 주최한 사회악추방 범시민 실천결의대회에서 이근영 공주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1987년 월가국민학교의 교육목표 추진 실적을 기록한 앨범의 내지이다. 일기쓰기 교육을 추진한 내용과 만들기교육을 강화하여 나온 결과물의 사진과 부가설명이 달려있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고마나루 명승길(공주보-연미산)⑫ 완벽하게 차만 다니도록 만들어진 부분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정안면 전경이다. 정안면사무소 옥상에서 찍은 전경으로 추정한다. 사진 좌측에는 정안농협 본점이 보인다.
1983년 2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0년 유구면사무소 마당에서 개최된 면민 화합 민속절 행사의 모습이다. 유구면 32개 부락 및 관공서팀 등 680여명이 참석하였고, 윷놀이와 널뛰기놀이 등을 통해 화합을 다지고 전통민속을 재현하여 공동체 의식을 정착하기 위해 행사를 개최하였다.
2006 계룡산 산신제 무가식산신제 (47)
1979.4.27. 공주고등학교에서 열린 '밝고바른생활전진 및 학도호국단 연합사열' 행사 현장이다. 학도호국단은 학생자치 훈련단체로서, 1940년대에 결성되어 제5공화국인 1980년대까지 존속하였다. 학생들에게 안보의식을 고취하고 전시를 대비토록 한다는 것이 외형적…
공주대학교 트랜스형 지역인재 양성사업단에서 주최한 2017학년도 Winter School에서 촬영한 공주 중동성당 일원의 드론 촬영물이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물재 이원구(勿齋 李元九) 시비 모습이다. 이원구는 1950년대 초, 공주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시회를 주관하여 공주 지역 문화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시비는 1996년 11월 15일…
1979년 제25회 백제문화제 전야제 행사로 진행된 축제의 밤 현장에서 강강술래를 펼친 어린아이들이 관객을 향해 절을 하고 있다.
공주사대부고 앞 삼거리에 위치하였던 박문사 문구점에서 제공자의 동생이 꼬마자도아를 타고 있는 모습이다. 박문사는 고 박학서씨가 운영하던 문구점으로 시외버스정류소와 함께 운영하였다. 지금은 공주고 앞으로 부여가는 버스가 지나가지만, 그 전에는 부여가는 버스길은…
1982년 공주금학국민학교 가을운동회에서 연주 중인 고적대의 모습이다.
2011 계룡산 산신제 셋째날 경기민요 (6)
1984년 계룡국민학교의 가을운동회 모습이다. 학생들이 작은 태극기를 사용하여 간단한 체조동작을 선보이고 있다.
1968년 국민교육헌장선포식을 갖는 정안초 재학생과 교직원의 모습이다. 국민교육헌장은 1970년대 교육 이념의 좌표로 민족중흥을 위한 새로운 국민교육의 지표를 설정한 선언이다. 선포 당시 전국의 학교에서 본 자료와 같은 선포행사가 이뤄졌다.
2000년 초반 민족통일을 염원하는 뜻에서 계룡면 입구에 장승을 건립하는 모습이다. 해당 장승은 현재 사라진 상태이다.
공주대학교 트랜스형 지역인재 양성사업단에서 주최한 2017학년도 Winter School에서 촬영한 공주 중동성당 일원의 드론 촬영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