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충청남도 새마을회 도회장단회의 회의자료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에 대한 총화행렬생사진행의 큰 흐름, 총화행렬세부분담추진계획, 행사진행세부분담추진계획, 참고사항을 수록함
1956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군사원호회비 영수증으로, 일금 사백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1964.06.18, 공주문화원 주최로 다방 왕궁에서 진행한 제101회 음악감상회 안내문이다. 자료 전반에 타 자료와 중복 부착되어 전체적인 형태를 온전하게 살펴볼 수 없다.
1957년 금융조합에서 발행한 수입이자영수증이다. 단기로 기재된 날짜 밑으로 영수받는 자의 성명이 적혀있다. 전표 가장 우측에는 세로로 금액을 기재할 수 있고, 대부(貸付)종별과 연월일, 산출원금(算出元金)과 연월일 및 일수, 이율과 이식(利息)을 차례대로 적는 칸이…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50주년 기념집 - 역사인들의 전성시대조 작품소개표
부여군에서 주관하는 백제문화제의 위원회명부와 진행계획, 세부계획과 행사장비현황을 수록함
일제강점기 대통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와당을 배경으로 제작한 엽서이다.
1989년 7월 26일 충남향토사연구연합회의 학술발표회에서 김재붕이 '임존성'이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했다. 이 문서는 발표한 내용에 대해 비판하는 문서를 배부한 박성흥에게 다시 반박하는 글이 담겨 있다.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남궁화가 41세에 작성한 1962년 보덕일지이다. 공주와 성주 일대에서 작성하였다. 기성품의 일기장을 활용하였는데, 앞부분에는 하루일과를 기입하였고, 뒷부분에는 일기장에 마련된 부록내용에 따라 비망기, 방명록, 독서일지, 영화상영일지를 기입하였다.
서울우유에서 만든 2002년 책상달력이다. 매달 로터리 클럽 활동이 빠지지 않고 기록되고 있으며, 청소년 관련 행사 및 제2건국추진위원회 일정도 간혹 보인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충청도관찰사 이진휴와 그의 형제와 관련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진휴를 비롯하여 권중회에 관한 내용, 이중환의 발문 등이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 두 쪽에는 각기 취리산 회맹과 신라 문무왕 시기 관련의 기록이 적혀있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나당 연합군 시기의 역사 관련 메모이다. 660년 7월의 부여 함락부터 시작하여 663년 7천 병사 파견과 당군 장수 설인귀의 웅진 도착까지의 역사가 개략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공주교육청에서 발행하고 유구국민학교에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학지도록이다. 맨 앞 페이지에는 유구국교만의 특색과 재학생 및 학급수가 기재되어 있다. 평가 기준과 점수가 매겨져 있고, 지도 현황 및 조언 내용이 수기로 기록되어 있다.
2003년 공주사범대학부설중등교원연수원에서 진행한 연수교재이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1. 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2. 국민주권
3. 기본권
4. 권력분립주의
1954년 공주 계룡면에서 발행한 제2기분의 가옥세 납입고지서 및 영수증이다. 일금 이십원을 12월 5일까지 면사무소에 납부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서류2 : 인사발령통지(학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