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메모로, 충청도관찰사 이진휴와 그의 형제와 관련된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진휴를 비롯하여 권중회에 관한 내용, 이중환의 발문 등이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 두 쪽에는 각기 취리산 회맹과 신라 문무왕 시기 관련의 기록이 적혀있다.
서류2 : 알림(최두문 교수 정년퇴임식 관련)
교육공무원의 인사기록카드 양식이다. 교원의 본적, 주소, 생년월일, 병역관계 등의 인적사항과 가족관계, 교육관련 자격면허, 교육훈련기간, 징계이력, 학력, 경력 등을 상세히 적을 수 있도록 칸이 마련되어 있다. 뒷면에는 경력사항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력평점표를…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 중 마곡사 고방에 소장된 기허대화상영규진영에 대한 것이다.
공주 배다리(구 금강교)유적 조사 - 배다리(구 금강교) 관련 신문기사 이미지 (22)
남궁화가 1969년부터 1970년까지 공주 정안면과 경북 울진 일대에서 쓴 일지이다. 무선의 종이에 세로줄로 하루일과를 작성하였다. 일지의 뒷부분에는 신문스크랩과 가족들의 사진을 부착하고 기록하였으며, 부록편으로서 연도변로 선행과 악행의 내역, 연도별 지역동선내역,…
1. 기본운영계획개요-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도표, 본원 이사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및 운영방침, 본원 연혁, 본원 시설 현황, 탑의 노래(원가),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84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금년도…
1956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납세고지서이다. 전표에 의하면 발행연도 및 납세자의 성명, 리(里)가 적혀있고, 다음칸에 조세명인 '갑종제1종토지수득세'가 인쇄되어 있다. 이하로 납부해야할 대맥(大麥)을 기입하는 란이 있다. 계룡면 유평1리 진상옥 님에게 청구된…
제 43회 백제문화제의 종합평가 보고 , 예산결산 승인건 , 개선방안에 대해 수록된 회의요약
박정자 지명유래에 관한 향토문화유적보호위원회 회의 안내 공문이다. 안건, 일시, 장소, 참석자에 관한 내용이 적혀있다. 뒷장에는 박정자 지명유래 진정내용 개요가 첨부되어있다.
기증자가 1983년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에 근무하면서 작성한 교무수첩이다. 담당 수업을 들어가는 반 학급 학생의 성적과 수행평가 점수 등이 적혀있고, 교무회의 중 나온 중요 내용을 필기한 부분도 눈에 띈다. 또한 본 자료의 내용으로 보아 당시에는 사대부중과 사대부고…
1988.10.05, 공주문화원 내 살롱에서 진행한 제57차 임시총회 회의록이다. 당시 임총에서는 1988년도 제1차 추경안에 대한 심의를 진행했다.
1940년 공주여자사범학교에 지원하는 입학생들을 위한 일문일답의 내용이다. 오늘날 Q&A와 같은 입학지원 안내용지로 볼 수 있다.
정월대보름맞이 윷놀이 행사 초대장
1927년도 반포공립보통학교 임월수 학생의 통신부이다. 통신부는 일제강점기 성적통지표를 일컫는 말로, 성적표, 근태표, 신체검사, 통신문 등이 적혀 있고, 축일과 제일, 주의사항 등이 인쇄되어 있다.
1972년 4월 서상규의 장남 서병래와 김두환의 장녀 김기옥이 공주군 우성면 쌍신리 신부자택에서 결혼한다는 내용이 인쇄된 청첩장이다. /…
이것은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에 대한 메모이다. 이 고장은 역사문화도시로서 백제와 조선을 구분지어 타 지방의 문화재와 차별성을 두는 방안을 메모하였다. 먼저 무령왕에 대한 홍보브랜드 전략으로서 왕릉, 무령왕 관련 박물관 부장품, 정지산유적 복원, 만화 제작,…
1972.05.26, 공주문화원에서 이준규 공주군수를 초빙하여 여성교양강좌를 진행할 때 배포한 문서이다. 새마을 운동과 여성의 사명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본 자료의 하단에는 코리안 타임을 지양하자는 문구가 삽입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