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공주새마을운동 - 76년 원예작물(고추) 재배농가교육(2)
연도미상의 공주고등학교 '개교 60년사 사진첩'에 실린 사진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근로보국 활동을 떠난 학생들을 촬영하였다. 학생들이 나성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
1962년 공주문화원 개원 5주년 및 한글날을 기념하여 공산성 4.19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백일장 모습이다. 본 자료는 진행본부의 모습이다.
양진언의 효행실적을 기재한 비석의 모습이다.
강물이 불어 나룻터에 배가 닿지 않아 물에 들어가 배를 끌고 있는 모습이다. 석장리 선사유적 발굴은 1964년부터 1992년까지 총 12차에 걸쳐 조사되었다. 1차는 연세대학교대학원 사학과에서, 2~10차는 연세대학교 박물관, 11,12차는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서…
1984년 오곡동에서는 벼 수확이 끝난 후 비닐로 피목하여 벼를 말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작품 사진_린덴바우어 알로이스, 성장하는 배(1)
1978년 제24회 백제문화제 전야제에서 불꽃놀이가 펼쳐지고 있다.
1985년 31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1년 11월 6일 전병용 공주군수와 모자 가구주와의 간담회 모습이다.
계룡산 삼불봉에는 민간인들이 돌탑을 세우고 약간의 제물과 함께 계룡산신에게 기도를 드렸다.
아루스사진관의 입구 현관 모습이다. 입구에는 사진관의 간판에 '아루스사장'이라 씌여 있는데, 당시 사진관 사장이 사진관과 예식장을 함께 운영하였기 때문에 간판에 '아루스사장'이라는 쓴 간판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공주시 우성면 부전동의 전경이다.
마곡사 신도들 스님들이 함께 계곡에서 야유회를 즐기며 찍은 단체사진
조선말기의 학자이자 항일운동가인 성암 이철영의 묘소를 촬영한 것이다.
공주시 역사의 거리 관련 조형물과 비석이다. 조형물에는 1992년 6월 3일 당시 공주시장 김건배가 쓴 비문이 새겨져 있다.
2003년 월산초등학교 신입생 입학식 모습이다. 본 자료는 신입생의 답사 낭독이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