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계룡국민학교제23회 동문회의 회원명단이다. 성명과 전주소, 현거주지를 칸을 나누어 작성하였다. 4페이지는 사납자를 따로 분류하여 작성하였고, 5페이지는 방명록으로 사용하였다.
2004년 공주시에서 작성한 국제 도자문화 교류 촉진에 관한 연구 문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목차
제1장 유전 자기의 도조 이삼평공
제2장 유전의 도자문화
제3장 유전 도자 대전과 도자기장
제4장 공주지역의 도자문화
제5장 공주시의 도자문화 진흥을 위한…
공주영명중학교 서무과에서 발행한 수업료 영수증이다. 발행연도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나, 자료제공자가 재학할 당시와 인쇄된 단기연도로 미루어보아 1950년대 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수증에 의하면 청구한 수업료는 12월과 1월분으로, 일금 오만원을 청구하였다. 자료…
1995년 공주대학교 컴퓨터 동아리인 Soft에서 동아리원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마음의 창이란 노트이다.
1959년 공주군 계룡면에서 발행한 전기분 농원회비(農援會費) 영수증으로, 일금 삼백원을 영수하였다. 전표 우측에는 발행연번, 날짜, 리(里), 납세자명을 기재하는 칸이 있다.
2009년 도 및 시 · 군 정기총회 현황
1985.03.05, 공주문화원 제51차 정기총회에서 보고된 1984년도 문화원 예산 감사보고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별다른 비위없이 84년도 예산안이 소중히 사용되었다는 감사보고이다.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의 금강 상류를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을 확인할 수 있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철거되었으며,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가에서 작업에 열중하는 아낙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앞 민가의 모습과 나루터의 모습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산성의 성벽이 오늘날과 달리 정비가 이뤄지지 않은 모습이며, 공북루에서 강가로 이동하는 오솔길이 정돈된 모습이다. 아울러 본 사진그림엽서 속 공북루 민가는 1920년대 중반…
윤여헌 교수가 스와카네시(須和 兼市)에게 보내는 편지의 초안문이다. 환율이 올라 일본에 가기가 어려우며, 다시 환율이 떨어지면 그때 기회를 봐서 일본에 방문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표지 1쪽, 본문 2쪽, 후면 1쪽] 獅山慈孝 교수가 윤여헌 교수에게 보낸 '21세기를 맞이하는 생활의 원점'이라는 제목의 글이다.
공주공립농업학교(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가 공주 신관동 전막으로 이전한 후 교내 실습지의 모습이다. 학교 인근에 위치한 실습지는 현재의 봉황중학교 부지이다. 본 엽서는 공주공립농업학교의 전막 신축이전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된 엽서이다.
본 자료는 기증자가 정안중학교에서 교직생활 중에 받은 1972년 6월분 월급봉투이다. 기증자는 1971년부터 2004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청양, 보령, 논산 등에서 교직생활과 교육청, 교육연수원, 교육원 등에서 공직생활을 지냈다. 봉투 전면에서는 상단에 이름을 적고 그…
2000년대 초, 계룡산 갑사 입구의 단풍이 내려앉은 모습이다.
1979학년도 제55회 정안초등학교 졸업식에서 배포한 학사보고 안내서이다.
1930년대에 발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구도-공주 유물전' 엽서 시리즈의 봉투이다. 반죽동 대통사지와 송산리고분군 등 공주 곳곳에 있는 백제 유적의 유물 10점에 대한 사진그림엽서로 구성되어 있다. 봉투에는 송산리 6호분의 서벽에 그려진 '백호' 무늬를 비롯하여…
1962년 공주 계룡면에서 작성한 차용영수증으로, 일금 이만일천원을 고리정금(高利整琻)전분(全分)으로 정히 영수한다는 내용이다. 문서에 의하면 영수자와 영수받는 자는 공주 계룡면 유평리 주민이며 영수자의 성명 뒤 공인을 위해 도장을 찍었다. 영수받는 자의 성명은 문서…
2009.9.15. 무령왕네트워크 총회 회의자료로 1.제8회 무령왕축제 참가 2.운영위원회 모임 3.오사카 왓소축제 및 자매도시(모리야마) 방문 4.가라츠 음식축제 5.공주회 총회 6.백제문화제 가라츠 방문단 7.임원 개선 8.시청지원금 지출 내역(상반기)로 구성되어…
1961년 정안국민학교 제2학년 강성만 학생이 1년 간 개근하여 이를 표창한다는 내용의 상장이다.